인니 섬에서 발견된 88㎜ 팔뼈 조각…소형화 흔적 확인
인류 종에서도 '섬 왜소화' 발현…"인류 진화의 다른 경로"
실제 호빗이라는 별명을 가진 인류 '호모 플로레시엔시스'가 과거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와 같인 시기에 지구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단서가 발견됐다. 학계에서는 이들 인류가 어떻게 작은 크기로 진화하게 됐는지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0일 학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플로레스 섬에서는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의 흔적이 첫 발견된 지 약 10여년 뒤 88㎜ 길이의 새로운 팔 뼈 조각이 발굴된 바 있다. 발굴 이후 연구가 지속되면서 이 뼛조각이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의 신체 구조를 알아내는 실마리가 됐다.
약 70만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이 뼈는 호모 플로레시엔시스가 플로레스 섬에 정착하고 예상 이상으로 빠르게 '소형화'됐을 것이라는 가설을 뒷받침하게 됐다.
동물이 섬과 같은 공간에 고립돼 작은 체구로 진화하는 '섬 왜소화'는 진화의 역사에서 드물지 않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당초 섬 왜소화 현상은 인류를 제외한 동물종(種)에서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2004년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의 발견이 공식 보고되면서 이 현상이 인류에게서도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인도네시아 플로레스 섬은 섬 왜소화 현상이 나타나는 대표적인 지역이다. 호모 플로레시엔시스 뿐만 아니라 현생 인류보다도 작은 수준으로 소형화된 원시 코끼리가 존재하기도 했다. 섬 왜소화 현상은 공간과 먹이가 한정됐거나, 포식자의 위협이 적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는 약 100만년 전 플로레스 섬에 도착해 약 6만년 전 즈음까지도 살아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최초에 발견됐던 호모 플로레시엔시스 유적지에서도 약 6만년 전의 화석이 함께 발견된 바 있다.
발견 초창기만 해도 이들의 형태나 키 등은 수수께끼로 남아 있었다. 이후 2010년대 중반 약 70만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비정상적으로 작은 턱뼈와 치아 화석이 발견됐으나, 이를 통해 몸 크기를 추론하는 것은 불완전했다. 이후 조각난 뼛조각을 재구성하던 추가 연구 과정에서 일부 화석이 어깨-팔꿈치 부분인 '상완골'에 해당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돌파구를 찾게 됐다.
88㎜ 수준의 작은 상완골 뼈가 처음에는 어린이의 것이라는 가능성도 제기됐으나, 연구진이 현미경 등 장비를 이용해 뼛조각을 정밀 조사한 결과 완전히 자란 성인의 뼈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 뼈의 주인의 키는 최대 108㎝를 넘지 않을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70만년 전 살았던 이 호모 플로레시엔시스 성인의 뼈가 6만년 전 살았던 호모 플로레시엔시스 표본의 뼈보다 9~16% 가량 더 얇고 작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즉, 초기 형태의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도 이미 최대 신장이 1m 내외일 정도로 작은 형태로 진화한 셈이다.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의 원형 인류로 추정되는 호모 에렉투스의 평균 신장은 현생 인류와 비슷한 약 1.7m 수준이다.
호모 플로레시엔시스가 100만여년 전 플로레스 섬에서 정착을 시작했고, 70만여년 전 살았던 호모 플로레시엔시스가 이미 소형화된 점을 고려하면 이 인류는 섬에 도착한 지 30만년 이내에 이미 섬 왜소화를 마친 셈이다. 키와 덩치가 작아지면서 뇌 또한 그에 맞게 축소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같은 결과에 대해 연구진 중 한명인 도쿄대학교의 인류학자 카이후 요스케는 "호모 플로레시엔시스가 새로운 체형으로 급속하게 바뀐 것은 인류의 진화가 취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를 보여준다"며 "우리는 인간이 똑똑해지는 것이 '운명'이라고 생각하지만,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는 인류가 다른 방식으로도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syhs@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