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 증식 활발해지는 장마철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주의를
28일 질병관리청의 수인성·식품 매개 감염병 집단발생 현황에 따르면 2022년 기준으로 4월 29건(337명), 5월 58건(1001명), 6월 70건(1407명), 7월 86건(1031명)으로 7월에 연중 발생 건수가 가장 많았다.
정화음 인천힘찬종합병원 소화기내과 과장은 “장마로 인해 높은 습도가 지속되고 집중 호우로 침수가 생기는 등 위생환경이 취약해지면 각종 오염균이 쉽게 증식해 감염병이 발생한다”면서 “오염된 물과 음식물을 통해서 뿐 아니라 환자와의 직·간접 접촉, 파리 등 곤충에 의해 세균이 옮겨져 수인성·식품 매개 감염병이 발생하기 쉽다”고 말했다.
수인성·식품 매개 감염병은 보통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 오염된 물과 음식, 환경에 여러 사람이 함께 노출될 경우 집단적으로 발생하고 유행하기 때문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수인성·식품 매개 감염병으로는 2급 감염병인 장티푸스, 세균성 이질,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과 3급 감염병인 비브리오패혈증 등이 대표적이다.
장티푸스는 오염된 물이나 식품을 통해 감염되는 급성 전신성 발열 질환으로 10~14일의 잠복기를 지난 후 고열, 두통과 함께 구토, 설사, 복통, 오한, 설사 또는 변비를 일으킨다. 제때 치료하지 않아 중증으로 발전하면 중추신경계 증상이 발생할 수 있고 사망률도 10~20%에 이른다. 세균성 이질은 이질균 감염에 의한 급성 장관 질환으로 균 감염 12시간~7일 후 발열과 구토, 복통, 혈성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환자나 보균자가 배출한 대변에서 나온 균이 입을 통해 들어가면 감염된다.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은 음식물을 충분히 익히지 않거나 날 것으로 먹었을 때 발생한다. 2~8일의 잠복기를 거쳐 미열과 물 설사, 경련성 복통을 일으킨다. 비브리오패혈증은 주로 비브리오 불니피쿠스균이 들어있는 해산물 섭취 시 발생하는데, 주로 간 질환자나 면역 기능이 떨어진 경우 감염되기 쉽다. 20~48시간의 잠복기를 거친 후 급성 발열, 오한, 혈압 저하, 발진, 부종이 생긴다. 치사율이 30~50%에 달할 정도로 높아 여름철에는 해산물과 어패류 섭취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감염병 증상이 나타나면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수분을 충분히 공급해주고 음식을 조절해야 한다. 탈수가 심하거나 전해질 불균형이 생기면 수액 치료도 병행한다. 만약 고열, 혈변, 중증 설사, 면역저하, 패혈증 같은 증상이 있으면 의료진의 판단 하에 항생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초기 증상이 가볍다고 의사의 처방 없이 임의로 설사약을 복용하면 자칫 장 속의 세균이나 독소를 배출하지 못해 합병증으로 장기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나 고령자는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어 증상이 생기면 바로 병원을 방문해 치료 받아야 한다. 같은 시간·장소에서 음식을 먹은 후 2명 이상 증상이 나타났다면 집단 감염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 즉시 가까운 보건소에 신고해야 한다.
감염병을 예방하려면 오염된 물과 음식물, 기타 위협 요인을 차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음식물은 75도로 1분 이상 익혀 먹어야 한다. 어패류는 85도 이상 가열해서 익힌다. 환자나 무증상 보균자가 직접 조리한 음식물이나 배설물에 의해 전파될 수 있기 때문에 간접 접촉도 피한다. 칼, 도마 등 조리 도구는 채소, 육류, 어류를 분리해 사용하고 깨끗이 세척·소독해 준다.
정 과장은 “일상생활 속에서 수인성·식품 매개 감염병을 막기 위해서는 위생관리가 필수적인데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솟 씻기”라면서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씻기만 해도 세균이 쉽게 제거되기 때문에 평소 수시로 손을 씻는 습관을 갖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positive100@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