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2월 한은 금통위…9차례 금리 동결에 무게

기사등록 2024/02/22 05:00:00 최종수정 2024/02/22 08:59:30

채권전문가 100% 금리 동결 예상

물가·경기·가계부채·부동산PF 딜레마 속 美 관망

[서울=뉴시스] 사진공동취재단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2024.01.11.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2월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22일 열린다. 시장에서는 딜레마에 처한 한국은행이 현재 기준금리를 9회 연속 유지할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농산품과 국제유가 오름세에 고물가 우려가 여전한 가운데 꺾이지 않은 가계부채, 경기 부진, 부동산PF(프로젝트 파이낸싱) 등 금리 인상과 인하 요인이 엇갈리면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서서히 늦춰지고 있다는 점에서도 일단 관망이 필요한 시점이다.

22일 금융시장에 따르면 다수의 시장 전문가들은 이날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3.5%에서 동결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이 금리를 3.5%로 결정하면 지난해 2월 이후 9차례 연속 동결하게 된다.

금융투자협회 조사에서도 금리 동결 의견이 높다. 지난 8일부터 15일까지 채권 전문가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100%는 금통위가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시장에서 금리 동결을 높게 점치는 이유로는 물가 불확실성이 높다는 점이 우선 꼽힌다. 1월 물가 상승률은 2.8%로 반년 만에 2%대로 내려왔지만, 신선식품지수가 7년 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하며 물가 불안이 가시지 않고 있다.

원자재와 공공요금 인상에 따른 2차 비용 파급과 중동 지정학적 분쟁에 국제유가도 안심하기는 이르다. 이달과 3월 물가가 다시 3% 내외로 상승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그럼에도 선뜻 금리를 올리지 못하는 이유는 경기 부진이 우선 꼽힌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는 이달 초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2.3%에서 2.2%로 낮춰잡았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최근 제시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2%로 지난해 1.4%에 이어 올해 역시 저성장이 예고됐다.

금융 불안정에 대한 경계심도 동결 전망에 무게를 더한다. 우리 경제 최대 뇌관으로 꼽히는 가계부채 증가세가 꺾이지 않고 있고 있는데다, 태영건설 워크아웃에 따른 건설사들의 자금 경색 우려도 높아졌다.

미국과 주요국의 통화정책을 관망할 필요도 있다. 1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3월 금리 인하 기대가 쪼그라든 데 이어 예상치를 웃돈 1월 미국 물가는 연준의 금리 인하 예상 시점을 하반기까지 밀어낸 상황이다.

관전 포인트는 금통위원들의 3개월 후 금리 전망이다. 다소 늦춰지기는 했지만, 연준의 연내 금리 인하가 기정사실화되면서 금융부실 위험에 우리나라가 선제적으로 금리를 내려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11월 금통위에서는 4명이 3.75% 인상 가능성을 열어두자고 했고, 2명은 3.5% 유지를 주장했지만, 1월에는 5명 모두 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이창용 총재 메시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그는 최근 금통위 때마다 고금리 장기화를 시사해왔다. 지난 1월에도 이 총재는 "개인적으로는 6개월 내 금리 인하는 쉽지 않다"며 조기 금리 인하 기대 차단에 나섰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연준이 2~3분기 내릴 가능성이 높아졌고, 금리 역전차 확대 우려에 선제적으로 움직이기 어렵다는 점에서 동결을 전망한다"면서 "인하 요인이 더 커진만큼 총재의 매파 메시지 강도는 약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njh32@newsis.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