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원팀코리아 꾸려 우크라 방문
양국 공동 6대 선도 프로젝트 발표
"우호적 여론…재건 사업 참여 추진력"
'제2의 마셜플랜'으로 불리는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이 본격화될 경우 인프라, 원전 등에 강점을 지닌 한국 건설업계에 기회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규모는 향후 10년간 최대 9000억 달러(약 12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은 전쟁으로 무너진 기반 시설의 단순한 복구가 아니라, 우크라이나의 미래 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에 따라 2차 세계대전 후 미국이 서유럽 국가 부흥을 위해 주도한 경제원조 프로그램인 '마셜플랜'과 비견될 만큼 각국 정부를 비롯해 국제통화기금(IMF), 유럽투자은행(EIB), 유럽부흥개발은행(EBRD) 등이 프로젝트를 제시하며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과 유럽연합(EU) 국가들이 이미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을 위한 치열한 물밑 작전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우리 정부도 발 빠르게 나서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0일(현지 시간) 뉴델리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세션3에 참석해 우크라이나 평화 회복과 재건을 위한 지원 패키지를 내놨다.
우리 정부는 내년에 3억 달러(한화 약 4011억원), 중장기적으로 2025년 이후 20억 달러(한화 약 2조674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3억 달러는 인도적 지원을 포함한 무상개발협력, 유럽부흥개발은행(EBRD), 월드뱅크 등 국제금융기구를 통한 지원 등이 포함된다. 20억 달러는 대외경제협력 기금(EDCF) 등을 통한 지원으로, 이는 통상적 지원 규모의 2배에 달하는 파격적 규모다. GDP대비로는 G7국가 중 일본과 유사한 수준이다.
정부의 우크라이나 지원 패키지 발표 이후 국토교통부는 민·관 합동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대표단(원팀코리아)'을 꾸려 우크라이나를 직접 방문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원희룡 국토부 장관을 단장으로 한 원팀코리아는 지난 13일부터 14일까지 이틀간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이우를 방문했다.
한국 대표단과 우크라이나 정부는 공동으로 6대 선도 프로젝트에 대해 발표했다. 양국이 발표한 6대 선도 프로젝트는 ▲키이우 교통 마스터플랜 ▲우만 시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보리스필 공항 현대화 ▲부차 시 하수처리시설 ▲카호우카 댐 재건지원 ▲철도노선 고속화(키이우~폴란드 등)다.
우크라이나 정부도 한국의 재건 사업 참여를 적극 희망하고 있다. 실제로 젤렌스키 대통령이 키이우를 찾은 한국 재건 협력 대표단을 만난 자리에서 원전, 방산, 자원개발, 재건 등 4대 분야 지원을 요청하기도 했다.
원 장관은 "우리나라는 인프라, 정보통신, 스마트 시티 등 우크라이나에 투입될 수 있는 미래형 기술을 모두 패키지로 갖춘 나라이기도 하다"며 "게다가 우리 기업들이 솔선수범해서 건설기계를 무상으로 기증하면서 우리나라에 대한 우호적인 여론이 급상승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우호적인 여론이 쌓이면서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참여도 추진력을 얻고 있다"며 "미콜라이우주 주지사인 고려인 4세 비탈리 킴이 오는 11월 공식으로 초청하기로 이번에 이야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우리 정부가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적극적으로 협력키로 하면서 전후 복구가 본격화될 경우 인프라, 원전 등에 강점을 지닌 국내 건설업계의 새로운 활로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온다.
다만, 아직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나지 않았고, 재건 사업 프로젝트가 구체화되지 않은 만큼 국제 정세를 파악해 가며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한국무역협회 정만기 부회장 지난달 29일 열린 '폴란드-우크라이나 진출 쟁점 및 전망 세미나'에서 "최근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우리 기업의 관심이 높지만 전쟁이 지속되는 현재로서는 전황에 대한 냉정한 진단에 의한 재건 수요 대응이 중요하다"며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관련 국제 사회의 흐름을 정확히 파악해 가면서 재건 수요에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ong1987@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