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마스크 시대]③'기대 반 우려 반'…완전 해제는 언제쯤?

기사등록 2023/01/28 16:00:00

WHO, 오는 30일 비상사태 해제 여부 결정

'심각 단계'·2급 감염병서 하향 조정시 논의

확진자 7일격리 단축엔 전문가 "시기상조"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지난 10일 오전 서울 양천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검사를 준비하고 있다. 2023.01.28. ks@newsis.com
[세종=뉴시스]이연희 기자 = 30일 실내 마스크 부분 해제를 앞두고 코로나19 겨울철 재유행도 안정세로 접어들자 마스크 전면 해제, 확진자 7일 격리의무 완화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28일 뉴시스 취재를 종합하면 감염병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3월 이후 따뜻한 날씨로 코로나19 위험이 현저히 낮아질 때 마스크 전면 해제나 확진자 격리기간 단축 논의가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WHO 엔데믹 선언에 쏠린 눈…이달 말 불발되면 봄으로

의료기관과 대중교통 등 일부 공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사라지면서 사실상 남아있는 의무적 방역 규제는 고위험시설의 마스크 착용 의무와 확진자의 '7일 격리' 정도 남았다.

오는 30일부터는 1단계로 대부분 실내 공간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가 사라진다. 그러나 의료기관과 약국, 감염취약시설, 대중교통 등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가 유지된다. 이들 시설은 2단계 전면해제 시점에 '착용 권고'로 전환될 전망이다.

7일간 확진자 격리기간이 3일 또는 5일로 단축되는 시점에 대한 관심도 높다. 우리나라처럼 확진자 7일 격리의무를 유지하는 국가로는 뉴질랜드와 벨기에, 싱가포르, 일본 등이 있다. 이탈리아와 독일, 이스라엘 등은 5일간 격리 의무를 두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 영국은 5일간, 프랑스는 7일간 격리하도록 권고한다.

지난해 12월 지자체 요구로 실내마스크 의무 해제 기준을 마련할 때에도 여당에서는 확진자 격리의무를 의료진과 같은 3일로 줄이자는 요구도 나왔다.

그러나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당시 "실제로 바이러스가 배출되는 기간은 평균 일주일 정도로 보고 있기 때문에 일주일 정도의 격리는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고 선을 그은 바 있다.

방역 당국은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가 해제된 후에나 실내 마스크 전면 해제 관련 논의를 시작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WHO 국제보건규약(IHR) 긴급위원회는 오는 27일 에서 코로나19가 PHEIC 요건을 충족하는지 논의한 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이를 토대로 오는 30일 코로나19의 PHEIC 해제 여부를 최종 결정, 발표한다.

지난 2020년 3월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선언 후 3년 만으로 사실상 사실상 코로나19 엔데믹(풍토병화) 선언이 나올 수 있다.

WHO 안팎에서는 백신과 치료제로 어느 정도 코로나19를 억제할 수 있게 됐다는 기대감과 중국이 이제 막 춘절 대이동을 마친 데 대한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이번에 불발되면 4~5월로 논의가 미뤄질 가능성이 있다.

거브러여수스 사무총장도 지난해 12월 "내년에는 코로나19 PHEIC가 해제되길 희망한다"고 말했으나 최근에는 "많은 국가의 코로나19 감염 상황과 사망자 수 증가 추이에 대해 여전히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네바=AP/뉴시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이 지난해 12월14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의 WHO 청사에서 기자회견하고 있다. 2022.01.28.

◆"바이러스, 7일간 전파력 여전…과학적 근거 따라야"

PHEIC 비상사태가 해제되면 우리 방역 당국도 보조를 맞출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의 재난위기경보 단계가 '심각'에서 '경계'나 '주의'로 하향되고 법정감염병 등급이 현재 2급에서 4급으로 조정되면 실내마스크 전면 해제 및 격리기간과 관련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정부는 지난해 6월 확진자 격리의무 전환 기준을 이미 한 차례 제시한 바 있다. 핵심지표로는 사망자 수와 치명률 두 가지가 있다. 일평균 사망자 수는 10~20명, 주간 사망자 수가 50~100명 이하로 유지돼야 한다. 전체 확진자 대비 사망자 비중을 뜻하는 치명률은 0.05~0.1% 사이여야 한다.

현재 관련 지표의 경우 핵심지표를 충족하지 못했다. 27일 기준 최근 2주간 사망자 수는 총 198명으로 기준의 약 2배에 달한다. 누적 치명률도 지난해 9월 초부터 꾸준히 0.11%로 유지되는 상황이다

이밖에 보조지표로는 ▲유행 예측 ▲초과 사망 ▲변이 바이러스 ▲의료체계 대응 역량 등이 있다. 방역 당국은 핵심지표가 충족되는 시점에 이 같은 지표를 종합적으로 정성 평가할 방침이다.

감염병 전문가들은 확진자 7일 격리의무를 3~5일로 단축하는 방안을 논의하기에는 이르다고 입을 모았다. 코로나19에 감염되면 바이러스의 전파력이 평균 7일간 지속되기 격리하지 않으면 전파 위험이 높다는 이유에서다.

신상엽 KMI한국의학연구소 수석상임연구위원은 "코로나19 확진자는 길게는 10일 이상 바이러스를 외부로 배출한다"며 "격리 후 7일 정도가 지나면 확진자가 외부로 바이러스를 배출해도 타인에게 감염시킬 가능성은 현저히 낮지만 격리 후 3~5일째 격리가 해제되면 다른 사람을 충분히 감염시킬 수 있는 수준의 바이러스를 배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도 "과학적 근거는 코로나19 감염자에게서 7일간 바이러스가 나온다는 것"이라며 "격리기간을 단축하려면 연구를 통해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연착륙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가령 백신 접종 횟수가 늘어나면 바이러스 양이 빠르게 줄어들고 고위험군이나 면역저하자는 바이러스 양도 많고 오랜 기간 배출된다는 점, 팍스로비드 등 먹는 치료제를 처방받은 경우 격리기간을 단축하는 식의 대안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이제 막 실내마스크 의무를 해제한 만큼 시간을 두고 지켜보면서 '아프면 쉬는 문화'를 빠르게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는 제안도 나왔다.

엄중식 가천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마스크 의무를 해제하자마자 격리기간까지 단축할 경우 유행 경과가 마스크 완화 때문인지 격리의무 해제 때문인지 감별할 수 없다"며 "마스크 의무가 이제 막 완화됐으니 2~4주 정도 추이를 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격리의무를) 권고로 바꾸고 잘 지킬 수 있도록 노동 환경 및 사회적 변화, 쉴 수 있는 문화를 만들어 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dyhlee@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