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보험공사 등 금융보증 유효기간 다가와
원주민 갈등으로 ESG 리스크 부담
LNG 수입 안되면 블루수소 사업도 연쇄 충격
[서울=뉴시스]유희석 기자 = SK E&S가 수 천억원을 투자한 호주 바로사-깔디따 해상가스전(바로사 가스전) 사업의 불확실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원주민과 갈등에 이어 이번에는 자금조달 문제까지 불거질 조짐이다. 이 가스전에서 나오는 액화천연가스(LNG)를 이용해 블루수소(화석연료로 수소를 만드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청정수소) 사업을 확대하려던 SK E&S 계획에도 차질이 불가피해 보인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무역보험공사는 이달 말 SK E&S가 지분 투자한 호주 바로사 가스전 사업에 대한 금융지원 보증 재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무역보험공사가 이 보증을 연장해주지 않으면 사업 자금을 지원한 한국수출입은행 등이 융자를 회수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SK E&S의 현지 사업은 자금 부담에 빠지게 된다.
바로사 가스전 사업은 곳곳에서 잡음이 끊이지 않는다. 현지 원주민과 갈등은 물론 환경피해 논란까지 제기되고 있다. 무역보험공사와 수출입은행 등 국책 금융기관 입장에선 바로사 가스전 지원 보증을 연장해줬다가 자칫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리스크 관리에 소홀하다는 비판을 살 수 있다. 실제 일부 환경단체와 정치권에서 바로사 가스전 지원 중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호주 북부 티모르해에서 최대 8개 가스전을 운영해 천연가스를 생산하는 바로사 가스전 사업은 10여년 전부터 시작했다. SK E&S는 2012년 3500억원을 투자해 코노코필립스·산토스로부터 가스전 지분 37.5%를 확보했다. 이후 호주 에너지기업 산토스가 코노코필립스 지분을 모두 인수하면서 지분율 50%로 최대 주주가 됐다. 나머지 12.5% 지분은 일본 제라(JERA)가 보유한다.
SK E&S는 2021년 3월 바로사 가스전에 대한 최종투자의사결정(FID)을 내리고 본격적으로 사업에 나섰다. 2025년부터 해당 가스전에서 생산하는 LNG를 국내로 들여와 충남 보령 인근에 건설 예정인 수소생산 플랜트를 통해 블루수소도 생산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지난해 6월 가스전과 육상 시설이 있는 다윈항 중간에 위치한 티위제도 므누피 지역 원주민들이 자신들과 협의가 부족한 상태에서 가스전 시추 공사 인허가가 이뤄졌다며 시추 인허가 무효 소송을 제기했다. 이후 호주 법원은 지난해 9월 원주민 손을 들어주며 시추가 중단됐다. 이후 진행된 항소심에서도 호주 법원은 이 같은 결정을 유지했다. 산토스와 SK E&S는 원주민과 협상을 진행 중이지만 시추 재개 여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바로사 가스전 사업이 차질을 빚으면 SK E&S의 수소 사업에도 악영향을 맞는다. 블루수소 생산에 필요한 LNG를 확보하기가 그만큼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SK E&S는 한국중부발전과 5조원을 공동 투자해 보령 LNG 터미널 인근에 세계 최대 블루수소 생산기지를 만들고, 이곳에서 연간 25만t의 블루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SK E&S는 지난달 산업융합 규제특례심의위원회에서 LNG 냉열 활용 청정수소 생산 및 액화수소 플랜트 구축·운영 건에 대한 실증 특례 승인까지 받았다. 보령에서 생산한 블루수소는 인근에 건설 예정인 연료전지 발전소와 전국 수소충전소로 공급될 예정이다. 바로사 가스전 사업이 난항을 보이면 LNG가 부족해져 블루수소 생산과 수소충전 사업 등도 줄줄이 충격을 받게 된다.
SK E&S 관계자는 "바로사 가스전 시추 과정에서 일부 문제가 발생한 것은 맞지만, 개발 사업 전체를 위한 인허가는 여전히 유효하다"며 "산토스를 중심으로 원주민과 다시 협의를 거쳐 조만간 시추를 재개하고, 2025년부터 LNG를 수입한다는 계획은 변함 없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현재 시추 이외 설비를 설치하는 등 다른 작업은 문제없이 진행하고 있고, 국책 금융기관에도 (금융보증이 재승인 되도록) 국가 에너지 안보와 친환경 에너지 생산의 필요성을 잘 설명하고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eesuk@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