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철강 대체 운송수단 없어...공사 중단 및 생산차질 발생
기계·화학·자동차, 상대적으로 피해 작아...장기화 대한 우려↑
기업 대다수, 정부 강경대응보다는 원만한 협상 원해
[부산=뉴시스]권태완 기자 = 민주노총 화물연대 2차 파업의 여파로 부산에서도 생산 및 건설공사 현장중단 등 피해가 현실화되고 있다.
부산상공회의소는 1일 '화물연대 2차 파업에 따른 지역 경제계 파급 영향 긴급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역의 주요 수출입 제조기업과 건설업, 운수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철강, 건설, 레미콘 등의 업종에서 제품 출하가 전면 중단되거나 공사 현장이 셧다운 되는 등 피해정도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들 업종의 경우 대체 운송 수단을 찾기 어렵고, 별도의 자구책 마련도 어려운 실정이라 파업기간 내내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됐다.
레미콘 제조업체인 A사는 주원료인 시멘트 공급 차질로 피해 우려가 컸다. 평상시 보유하고 있던 2~3일분의 재고가 이미 소진돼 공장 가동 중단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건설사인 B사는 레미콘 등 건자재 수급 중단으로 공사 중단 현장이 발생했으며,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모든 현장에서 공사가 중단될 것을 우려했다.
A사와 B사 모두 화물연대 비소속 운수종사자를 통해 화물운송을 시도했으나, 화물연대의 견제와 강압으로 인해 이마저도 쉽지 않다고 응답했다.
해상공사를 하는 C사 역시 하루 시멘트 사용량이 상당한 수준이지만 재고 보유가 1일치에 불과해 공사 중단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철강 업체인 D사는 파업이 시작된 지난주부터 물류가 중단됐고, 제품보관 장소도 마땅치 않아 생산 자체가 중단된 상황이었다.
또다른 철강 업체인 E사는 원자재 반입은 아직까지 문제가 없으나, 철근 및 반제품 출하를 위한 비화물연대 소속 화물차량 수배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반면 원자재 및 제품 크기가 작은 조립금속, 정밀기계, 섬유 등의 업종은 파업으로 인한 물류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덜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들 업종도 사태 장기화 시에는 물류 차질로 인한 생산과 납기준수에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화학, 자동차업종의 경우 이번 주까지는 큰 차질이 없지만, 다음 주부터 원자재 반입 등에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생산량 감소와 납기 지연 등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내수 물량보다는 수출입 물량에서 더 큰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우려된다고 응답했다.
정부의 강경대응에 대해서도 개별 기업의 상황에 따라 온도의 차이가 있었다. 대다수 기업들은 정부의 강경대응이 파업사태의 장기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정부가 전향적인 자세로 협상에 나서서 기업의 손실을 최소화해 주길 희망했다.
반면 이미 생산 차질이 본격화된 기업들의 경우에는 업무복귀명령 등 강경책을 써서라도 조속하게 물류 정상화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의견도 많다.
제품 출하가 중단된 철강업체 F사의 경우 시멘트 분야뿐만 아니라 철강 분야까지도 정부가 속히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하여 주기를 바란다고 답변했다.
부산상의 기업동향분석센터 관계자는 "파업사태가 길어지면 전 업종에 막대한 피해가 누적된다"면서 "수출제조기업 비중이 높은 부산의 경우 수출납기를 제대로 이행하지 못할 시 어렵게 확보한 해외거래선을 놓칠 수도 있는 만큼 정부와 화물연대 양 측의 대승적인 타협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won97@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