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가운데 안전운임제 연장을 요구하고 있는 화물연대의 주장에 맞서 화주들은 안전운임제의 일몰을 적용하고 새로운 제도를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8일 화주협의회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31일부터 화물연대 총파업 이틀째인 이날 오후까지 유선 및 온라인을 통해 접수된 애로사항은 총 112건이다. 피해 내용으로 ▲원자재 조달 차질 ▲생산 중단 ▲물류비 증가 ▲납품 지연 ▲위약금 발생 ▲선박선적 차질 등이 접수됐다.
이 가운데 수입과 관련된 피해가 44건(39.3%), 수출 관련 피해가 68건(60.7%)이다. 수입 중에서는 원자재 조달 차질이 19건(17.0%), 생산 중단이 12건(10.7%), 물류비 증가가 13건(11.6%)을 차지하고 있다.
또 수출과 관련해서는 납품 지연이 25건(22.3%), 위약금 발생이 29건(25.9%), 선박 선적 차질이 14건(12.5%)으로 집계됐다.
일례로 원자재 조달 차질과 관련해 화장품 내수기업인 A사의 경우 수입 원자재 화물을 본사로 운송하지 못하고 있어 2억원 수준의 생산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회사 자체 트럭 운송도 화물연대 제재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철도차량부품을 수출하는 무역업체인 B사 역시 중국에서 수입한 화물을 인천항에서 반출하지 못하는 중이다. 이로 인해 생산라인이 중단돼 최대 10억여원의 손실이 발생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화학제품을 수입해 국내에 판매하는 업체인 C사의 경우에도 물류 중단으로 인한 체선료 및 보관비용 추가 발생을 걱정하고 있다.
삼계탕·오리털 등을 생산 수출하는 업체인 D사는 오리털을 생산 직후 출고해야 하는데도 사흘에 13t 규모로 생산되는 물량을 출고하지 못할 경우 하루 2000만원꼴의 피해를 입게 되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화주들은 일몰을 앞둔 안전운임제 연장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이준봉 무역협회 화주협의회 사무국장은 "지난달 말 애로신고센터를 만들어 운영 중인데 대기업의 경우 2∼3일 버틸 여력이 되지만 중소기업들은 발을 동동 구를 수밖에 없는 입장"이라며 "장기화될 경우 화주들의 피해가 걱정된다"고 말했다.
이어 "수입업체들은 수입한 원자재를 못 들여와 생산 중단 위기를 겪는 업체들이 있고 수출업체들은 어렵게 잡은 선복을 놓쳐 어려움을 호소하거나 납기 지연으로 인한 계약 위반으로 위약금 등을 물 수 있다는 문제를 겪고 있다"며 "신선식품 같은 경우 기한이 정해져있는 만큼 폐기처분될 위기에 처해있다"고 우려했다.
아울러 안전운임제와 관련해서는 "화주 입장에서는 문제점과 부작용이 있다는 점을 꾸준히 제기해왔다"며 "일단 일몰이 되도록 하고 새로운 형태의 운임제 등을 합리적으로 논의해야 화주와 차주가 상생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무역협회는 이번 파업과 관련해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접수하고 지역본부 및 자체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수집에 나서고 있으며 군위탁 화물차량 수요조사 및 정부 비상수송위원회 건의 등을 통해 대응에 나서고 있다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pjk76@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