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 노준석 교수팀 성과
자외선·가시광선 동시 작동하는 원리 이용
지폐·여권 등 위·변조 효과적으로 방지 기대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지폐나 여권 등의 위·변조를 더욱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메타표면을 활용하려면 메타표면을 구성하는 구조체 하나가 빛의 파장보다 작은 크기여야 한다. 그러나 자외선은 파장이 매우 짧아 이에 맞는 구조체를 만들기 어려웠다. 게다가 메타표면에 주로 사용되는 실리콘과 같은 물질이 자외선을 쉽게 흡수한다는 점도 한계로 꼽혔다.
이에 연구팀은 자외선을 잘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그간 가시광선 영역에서만 사용됐던 질화규소의 물성을 조절해 흡수를 줄였다. 이 물질로 자외선 레이저를 쏘면 이미지가 선명하게 보이는 메타홀로그램을 만들어냈다.
그 후 전자빔 리소그래피(전자빔을 원하는 모양대로 감광막에 조사하여 패턴을 만들어내는 방법) 오버레이 기술을 통해 각각 자외선과 가시광선 영역에서 작동하는 메타홀로그램 두 개를 합쳐 제품의 고유 번호를 나타내는 위·변조 방지 장치를 만들었다.
이 위·변조 방지 장치에 자외선이나 가시광선 레이저를 비추면 각각 다른 편광(polarization) 상태를 가지는 이미지가 보인다. 가시광선 레이저를 비추었을 때 나타나는 홀로그램은 열쇠 역할을 하며, 열쇠의 정보를 자외선 편광판에 입력해 자외선 빛을 비추면 특정 숫자들이 사라진다. 이 숫자들이 바로 고유 번호가 된다.
이 암호화 시스템은 눈에 보이지 않는 자외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해독이 어렵고, 위·변조를 확인할 수 있는 고유 번호나, 비밀번호가 노출될 가능성도 줄어든다는 특징이 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회 국제학술지 ‘ACS 나노(ACS Nano)’ 최근 호에 발표됐다. 이 연구성과는 삼성미래기술육성센터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포스텍 노준석 교수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자외선의 특성을 이용해 한층 성능이 높은 광학 암호화 시스템을 개발했다”며 “이 연구는 가시광선 이상의 긴 파장 영역으로 제한돼 있었던 기존의 메타표면 연구를 자외선 영역으로 넓힐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어 “해당 컨셉은 지폐나 여권 등에 사용될 수 있는 미래 보안기술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관 기관들과 협의 중”이라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dr.kang@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