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래 최고지만 코로나 충격 기저효과...10~12월 팬데믹 재확산에 '발목'
작년 산업생산 9.6%↑ 고정자산 투자 4.9%↑ 소비매출 12.5%↑
[서울=뉴시스]이재준 기자 = 지난해 중국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대비 8.1% 늘어났다고 중국 국가통계국이 17일 발표했다.
작년 경제성장률은 시장 예상 중앙치 8.0%를 약간 상회했다. 2011년 9.6% 이래 10년 만에 높은 성장률이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경제활동이 크게 충격을 받은 2020년의 기저효과에 대한 반동 요인이 크게 작용했다. 2020년 성장률은 2.2%에 머물렀다.
애널리스트는 "코로나19가 계속 퍼지고 부동산 시장이 부진한 가운데 경기 회복세가 여전히 약하다"며 "그래서 인민은행이 올 상반기에 추가 금리인하 등 대책을 시행할 것"으로 진단했다.
작년 10~12월 4분기 중국 GDP는 물가 변동을 조정한 실질로 전년 동기보다 4.0% 증가했다. 7~9월 3분기의 4.9%에서 다시 둔화했다. 1~3월 1분기 성장률은 18.3%, 4~6월 2분기 경우 7.9%였다.
시장 예상 중앙치 3.6% 상승을 웃돌았지만 분기로는 1년반 만에 낮은 수치로 떨어졌다. 계절 요인을 감안한 전기 대비 신장률은 1.6%로 예상치 1.1%를 상회했다.
코로나19 재유행에 따른 행동제한이 경제활동의 발목을 잡았다. 코로나19를 철저히 봉쇄하는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특히 소비가 주춤했다.
환경과 부동산 등 당국의 규제 강화도 영향을 주었다. 전력 부족과 부동산업계 채무 위기 등 사태가 잇따랐다.
GDP와 동시에 공표한 다른 주요통계에선 경기정체를 엿보이게 했다.
2021년 산업생산 증가율은 전년 2.8%에서 대폭 신장한 9.6%를 기록했다. 하지만 1~9월 11.8%와 비교하면 둔화했다.
중국 정부의 환경규제로 전력공급을 제한한 철강과 시멘트 생산이 떨어졌다.
12월 산업생산은 4.3% 늘어나 11월 3.8%에서 확대했다. 예상치 3.6% 증대도 웃돌았다.
백화점과 대형 체인점, 온라인 판매를 망라한 소매 매출액(사회소비품 소매총액)은 12.5% 증가해 2020년의 3.9% 감소에서 크게 개선했다. 그래도 1~9월 16.4% 증대보다는 축소했다.
12월 소매 매출액은 1.7% 늘어나 2020년 8월 이래 낮았으며 예상치 3.7% 증대도 훨씬 하회했다. 11월은 3.9% 증가했다.
춘절(설) 연휴를 앞두고 코로나19에 대한 경계가 강화되고 있다. 동계올림픽 개막을 눈앞에 두고 수도 베이징까지 오미크론 변이가 침투, 비상이 걸렸다.
공장과 인프라 건설 등을 나타내는 지난해(1~12월) 고정자산 투자액은 전년에 비해 4.9% 증대했다. 예상치 4.8% 증가를 약간 넘었지만 1~11월 5.2%보다 감속했다.
이중 지방경제를 떠받치는 인프라 투자는 0.4% 늘어나는데 그쳤다.
2021년 부동산 투자는 전년보다 4.4% 늘었다. 1~11월 6.0% 증가에서 둔화했다. 거품 억제를 겨냥한 금융규제로 멈칫했다.
부동산 판매(면적기준)는 2020년 대비 1.9% 증가했지만 1~11월 4.8%에 비해선 대폭 축소했다. 신축 착공은 11.4% 줄었다. 1~11월 9.1% 감소에서 확대했다.
유동성 위기를 겪는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가 조달한 자금은 전년보다 4.2% 늘었다. 그러나 1~11월 7.2% 증가에선 위축했다.
경기 정체로 고용과 소득 회복도 탄력이 줄어들었다. 2021년 도시 지역 신규 고용은 1269만명으로 전년 대비 7% 많았으나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을 6%나 미치지 못했다.
1인당 가처분 소득 신장률은 지난 2년간 연평균 6.9%로 1~9월의 7.1%에서 역시 둔화했다.
다만 내수 부진과는 대조적으로 외수는 견조함을 유지했다. 2021년 4분기 수출입 모두 전년 동기보다 20% 이상 확대했다. 수출액은 3조3천640억 달러로 29.9% 급증했다. 수출에서 수입을 차감한 무역흑자도 최대치를 경신했다.
중국 경제는 새해 초에도 정체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가 전국으로 확산할 조짐으로 보이면서 이동제한이 장기화할 우려를 낳고 있다.
이와 관련해 골드막삭스는 2022년 중국에서 코로나19에 대응해 수시로 광범위한 규제가 불가피해지면서 실질 성장률을 종전 4.8%에서 4.3%로 낮췄다.
◎공감언론 뉴시스 yjjs@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