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금리정책 기조 변경 고려할 사안 아냐"
[서울=뉴시스] 조현아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15일 새해 첫 기준금리를 연 0.50%로 동결했다. 자산시장 과열 경고음이 높아졌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나 경기 회복세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당분간 완화적 통화정책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한은 금통위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분에서 금통위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0.5% 수준으로 동결했다. 한은은 지난해 3월과 5월 두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 수준인 0.5%로 낮춘 뒤 이달까지 모두 5차례 연속 같은 수준을 지속했다. 경제 상황 등을 고려할 때 아직 통화정책 기조를 바꿀 때가 아니라는게 한은의 진단이다. 이번 금리동결은 금통위원 7명 전원의 만장일치 결정이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금통위 회의 이후 기자간담회에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등의 어려움이 크고 앞으로 어려운 계층의 위험이 단기간내에 해소되기 어렵다고 본다"며 "실물경제 위험을 감안할 때 여러 조치를 정상화하거나 금리정책 기조를 바꾸는 건 고려할 사안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수출 회복세에도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조치 등으로 내수는 여전히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코로나19 백신 효과와 대내외 불확실성이 여전한 상황에서 경기가 안정적으로 회복될 때까지 저금리 유지가 불가피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은은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3% 안팎 수준을 나타낼 것이라는 전망이다.
실물경기와 금융자산간 괴리가 커지고 있는 점은 한은 통화정책의 부담 요인이다. 저금리 기조 속에서 풀려난 막대한 유동성이 부동산과 주식 등 자산시장으로 쏠리는 현상이 심화되고, 부채가 급증하고 있어 금융불균형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 총재도 최근 부진한 실물경제와 달리 주가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현상에 대해 우려했다. 그는 "최근 (주가상승) 속도가 과거 이전보다 대단히 빠른 것은 사실"이라며 "과도한 레버리지에 기반한 투자의 경우 예상치 못한 충격(쇼크)로 가격 조정이 있을 경우 감내하기 어려울 정도의 손실을 유발할 수 있어 상당히 유의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경기회복 속도 등을 고려할 때 연내 기준금리는 동결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한은의 통화정책 정상화 논의는 이르면 내년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최소 2023년까지 제로금리를 유지하기로 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보다 앞설 수 있다는 관측이다. 미 연준은 조기 금리인상 가능성을 일축한 상태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14일(현지시간) 프리스턴대학교 주최의 온라인 세미나에서 "인플레이션이 낮게 유지되는 한 금리인상은 없을 것"이라며 "금리를 인상할 때가 되면 틀림없이 그렇게 하겠지만 곧 오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미국이 완화기조를 오래 끌고 가는 것은 (국내 통화정책) 운신의 폭을 넓혀주고 있지만 미국 정책 기조를 그대로 따르는 것은 아니다"라며 "완화정도 축소 등은 국가별로 처한 상황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acho@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