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따라 '롤러코스터'…부침 거듭한 동남권 신공항 건설

기사등록 2020/11/17 14:45:51 최종수정 2020/11/17 15:25:14

노무현 정권 때 타당성 검토 지시 2006년말 공론화

이명박·박근혜 정권 거치며 결국 2011년 전면 백지화

[부산=뉴시스] 허상천 기자 = 부산 신공항은 ‘24시간 안전하게 운용할 수 있는 동남권 관문공항’을 염원하는 남부지역 주민들의 숙원 사업이다.

 이들은 그동안 부산·울산·경남지역 뿐만 아니라 대구·경북과 전남 등이 이용할 수 있는 국제공항 건설을 요구해 왔다.

인천공항을 이용하는데 한나절 이상 소요되는 시간·경제적 부담을 덜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미래의 항공 물류시대에 동남권 경제 활로를 여는 관문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감도 더 크다.
 
 동남권 신공항 건설사업은 한반도 동남쪽 인천공항에 이어 남부권에 동북아 제2의 허브공항을 짓겠다는 목표로 추진했으나, 2011년 3월 전면 백지화로 결론 내려지는 등 정치권의 부침에 따라 우여곡절을 겪었다.

 영남권 지자체들이 2025년이 되면 동남권 대표 공항인 김해국제공항의 연간이용객이 2000만 명을 넘어 포화상태가 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새 공항건설을 요구했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국토교통부에 타당성 검토를 지시하면서 2006년 말 공론화됐다.

 이번 재검토 방침으로 그동안 동남권 신공항사업은 당초 2025년까지 660만㎡의 부지에 10조 원을 들여 완공해, 한 해 1000만 명의 국제 여객을 실어나르겠다는 계획이었다.

 2007년 8월에는 이명박 대통령이 대선공약으로 제시했고, 2008년 대선 당시에는 대구·경북과 부산·울산·경남 등 두 곳의 권역별 공약집에서 신공항 건설을 공약한 바 있다.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2008년 3월에는 국토연구원이 2차 용역에 착수했으며, 정부도 같은 해 9월 동남권 신공항을 30대 광역 선도프로젝트로 선정했다. 이후 12월에는 부산이 가덕도를, 2009년 1월에는 경남이 밀양을 신공항 건설지로 제시했다.

 2010년 7월에는 20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입지평가위원회가 구성돼 두 후보지를 대상으로 평가작업을 벌여왔으나 2011년 3월 30일 가덕도와 밀양 모두 합격 기준에 이르지 못해 전면 백지화로 결론이 내려졌다.

 이후 국토부는 가파르게 증가하는 영남권 항공수용에 대처하기 위해 영남지역 5개 지자체 합의 및 외국 전문기관 검토를 거쳐 2016년 6월 영남권 신공항의 최적입지로 ‘김해신공항’을 결정했다.

이어 2018년 12월 공항건설 기본계획(안)까지 마련했다.

 그러나 부산·울산·경남지역 단체장들과 지역 단체들이 한 목소리로 가파르게 늘어나는 동남권의 항공수요에 대처할 새 공항 건설 대신 김해공항을 늘리기로 한 국토부 계획에 대해 '안전성과 소음공해' 등의 문제를 제기하면서 '24시간 안전하게 운영할 신공항 건설'을 강력하게 요구하자 지난해 6월 국무총리실에서 김해공항 확장안인 김해신공항 건설계획을 재검증키로 하고 그 결과에 따르기로 합의했었다.

 부산시는 이번 조치로 그동안 염원했던 가덕도(강서구 가덕도동) 앞을 메워 신공항을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시는 1단계 공사에 5조9000억원, 2단계 공사까지 총 7조9000억원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활주로는 폭 약 1.7㎞, 길이 4㎞ 정도로 예상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동남권 관문공항 역할을 하기 위해 보다 보강된 치밀한 시설 계획이 필요한 상황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heraid@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