떨어진 난소기능 회복 어려워
건강한 임신과 출산은 모든 임산부의 소망이지만, 최근 임신에 어려움을 겪는 부부가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난임 환자 수는 2017년 20만8704명에서 2018년 22만9460명, 2019년 23만 802명으로 연평균 약 5%씩 증가했다.
난임은 피임을 하지 않는데도 1년 이상 임신이 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원인은 여성의 난소기능 저하, 자궁 요인, 남성 원인 등 매우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한 병원의 난임센터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10년 사이 난소기능 저하가 주요 원인으로 급부상했다.
이는 결혼 연령이 높아지면서 여성들의 임신과 출산 시기가 늦어졌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난소는 여성의 대표적 생식기관이다. 임신에 가장 중요한 배란이 이뤄지는 곳이자 여성호르몬의 분비를 책임진다. 여성은 약 200만개의 원시난포를 가지고 태어나는데 난포의 개수는 나이가 들면서 감소한다. 난소도 노화로 인해 기능이 점차 저하된다. 한 번 떨어진 난소기능은 회복이 어렵다.
최근 난소 기능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로 난소 나이를 확인할 수 있는 항뮬러관호르몬(AMH) 검사가 주목받고 있다. AMH는 난소에 있는 원시난포에서 분비되는 물질이다. 폐경에 가까울수록 남아있는 난소의 난자 생성 능력이 감소하면서 AMH 수치가 낮아진다.
AMH 검사를 통해 난소 예비능을 평가하게 되면 임신, 출산뿐 아니라 다낭성난소증후군, 과립막세포종양 등의 질환 유무와 폐경 시기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검사는 별도의 초음파 검사 없이 팔에서 혈액을 채취해 혈액 속에 있는 AMH를 분석한다. 다른 호르몬 검사와 달리 생리 주기의 영향을 적게 받아 생리 주기에 맞춰 검사 받을 필요가 없다.
작년 12월부터 난임 원인 규명 및 치료를 위해 실시한 경우 연 1회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됐다.
GC녹십자의료재단 진단검사의학과 김수경 전문의는 “보다 정량화된 결과를 산출할 수 있고 월경 주기에 따른 영향이 비교적 적어 기존의 검사들과 함께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ngyj@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