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윤희 차관 "최숙현 사태 다신 없도록…인권침해 전수조사"

기사등록 2020/07/15 15:42:23

통합당 주최 체육인 복지법 공청회 참석해 다짐

"제보 처리 과정의 잘못 밝히고 엄중 처벌할 것"

이기흥 "선수를 돌보지 못한 무거운 책임 통감"

김종인 "체육인 생활 적응 등 국가가 책임져야"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최윤희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이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체육인 복지법’ 제정을 위한 공청회 :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진 체육인, 언제까지 눈물을 흘려야 하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0.07.15. bluesoda@newsis.com
[서울=뉴시스] 문광호 기자 = 15일 국회에서 체육인들의 은퇴 후 삶을 지원하기 위한 체육인 복지법 공청회가 열렸다. 참가자들은 체육인 복지법 필요성을 주장하면서도 가혹행위에 시달리다 숨진 고(故) 최숙현 선수와 같은 사건이 재발해선 안 된다며 인권침해 실태 전수조사 등 대책 수립을 약속하기도 했다.

이용 미래통합당 의원과 당 정책위원회는 이날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체육인 복지법 공청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김종인 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 서병수, 송언석 의원 등 당 관계자뿐 아니라 최윤희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 신치용 대한체육회 선수촌장 등이 참석했다.

정부와 체육단체에서는 체육인 복지법 제정의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고 최숙현 선수가 겪은 것 같은 인권 침해를 예방하는 것이 복지의 첫 걸음이라고 강조했다.

최윤희 차관은 "얼마 전 발생한 비극적 사태는 우리나라 체육계의 외연이 커졌지만 내면은 변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줬다"며 "저는 고 최숙현 선수의 아버지를 찾아뵙고 약속했다. 이번 사건에 대해 철저히 원인을 규명하고 무관용 원칙으로 대응해 선수가 희생되는 일이 다시는 없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이어 "제가 단장으로 잇는 문체부 특별조사단을 통해 고 최숙현 선수의 제보 처리 과정에서 무엇이 잘못됐고 그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 철저히 밝히고 엄중 처벌하겠다"며 "합숙소 이용실태 등 체육계 인권침해실태 전수조사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스포츠 윤리센터를 중심으로 체육인들의 인권 침해를 예방하고 보호 체계를 제대로 작동하게 하겠다"며 "진정한 복지는 인권이 보장되는 환경에서 실현될 수 있다. 체육계 문화를 개혁해 선수들이 운동에 매진할 환경 만드는 게 체육인 복지 첫걸음이라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기흥 대한체육회장도 신치용 선수촌장을 통해 전한 축사에서 "얼마 전 우리의 소중한 선수를 떠나보내는 가슴 아픈 사건이 있었다"며 "대한체육 100주년이라는 거대한 성취의 이면에 아직 스포츠 폭력 가혹행위로 고통 받는 선수들 있다는 것이 몹시 처참하고 슬픈 일이다. 선수를 돌보지 못한 무거운 책임을 통감하며 고 최숙현 선수의 명복을 빈다"고 전했다.

이어 "가혹행위, 폭행 등 낡은 관습에서 벗어나 선수들 스스로 즐기는 가운데 훈련하며 이뤄낸 성과가 스포츠를 더 가치 있게 만든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며 "스포츠 새 시대를 만들 때 스포츠 인권을 전면 개선하고 제도적 측면에서 놓치는 부분 없는지 세심히 살펴야 한다. 그것이 체육인 복지법이 절실한 이유"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한체육회는 더 이상 이 같은 불행한 사건이 반복되지 않도록 철저한 조사와 실질적 재발방지책을 마련해 대한민국 스포츠의 밝은 내일에 적극 협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이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체육인 복지법’ 제정을 위한 공청회 :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진 체육인, 언제까지 눈물을 흘려야 하나?에서 이용 의원과 대화를 하고 있다. 2020.07.15. bluesoda@newsis.com
김종인 통합당 비대위원장은 최숙현 선수에 대한 언급 대신 체육인의 은퇴 후 삶에 대한 정부의 책임 있는 조치를 촉구했다.

그는 "체육인들이 운동하는 순간이 가장 즐겁고 국제대회인 올림픽이나 아시안게임에서 메달을 따면 기쁘고 국민들의 촉진제 역할을 하는 게 사실"이라며 "그런데 체육인들이 현역을 떠나 더 이상 운동할 수 없는 시기에 이르면 생계를 걱정하지 않으면 안 되는 현실에 부딪힌다"고 전했다.

이어 "체육인들이 현역에서 물러나서 어떻게 생계를 유지할 방법 찾을 것인가"라며 "그러려면 (새로운) 생활에 적응할 교육도 필요하고 교육받는 과정에서 재정적으로 어떻게 도울지도 생각해야 하고 노후를 어떻게 생각할지 등 모든 것들이 결국 국가가 책임질 과제가 됐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체육인에 대한 (법제) 사항이 아직도 부실한 상황이라 그간의 법제화를 시도했지만 제대로 못하고 10여년 시간 지났다고 들었다"며 "공청회에서 어떻게 하면 체육인들이 전성기를 지나서 은퇴한 이후에도 실생활에 제대로 적응할 제도적 장치 등 좋은 안을 많이 내줘서 법이 정상적으로 이뤄지는데 도움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moonlit@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