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세계적 감염병에 입국 금지시 오히려 관리 어려워"

기사등록 2020/03/12 23:05:03

"입국 금지시 방역망서 사라지고, 검역에 맹점"

"트럼프, 韓 철저한 방역, 검역 강화에 긍정 평가"

"한일 비자제도는 상응조치, 검역은 질적으로 달라"

"이탈리아 교민 철수 계획, 지금으로선 고려 안해"

[서울=뉴시스] 조수정 기자 = 외교부 장관이 6일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관련 주한 외교단 대상 브리핑'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0.03.06.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이국현 기자 =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12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세계적 확산과 관련해 "입국 금지가 가장 쉽고 효과적일 수 있다는 평가도 있겠지만 세계적인 감염병이 돌았을 때 입국 금지를 하면 오히려 관리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이날 KBS뉴스9에 출연해 "검역 신고를 강화하고 발열 검사를 하는 특별입국절차로는 부족한 것이 아니냐는 견해도 있다. 입국 금지나 격리 조치 등 입국 제한 조치를 강화할 계획은 없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밝혔다.

강 장관은 "한 나라에 대해서만 입국을 금지를 하더라도 제3국을 통해서 들어온 길이 있고 꼭 들어올 사람들은 어떻게 해서든지 들어온다"며 "그렇게 되면 우리의 방역 레이더망에서 사라지고 검역 부분에 맹점이 생긴다. 그래서 입국금지를 하지 말라는 것이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라고 강조했다.

강 장관은 정부가 오는 15일 0시부터 프랑스, 독일, 스페인, 영국, 네덜란드를 방문·체류한 입국자에 대해 특별입국절차를 적용키로 한 데 대해서는 "상당히 효과적으로 관리가 됐고 운용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특별입국절차를 하는데 있어서 방역당국의 능력에 무리 없이 잘 진행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대한 여행경보 완화 가능성을 언급한 것을 놓고 미국과 사전 협의가 있었는지에 대해선 "미국과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내용까지 파악한 건 아니지만 각 레벨에서 수시로 소통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그렇게 말한 것은 국내적인 철저한 방역, 최근 미주노선에 타는 출국자에 대해 취하고 있는 검역 강화 조치, 처음부터 모든 정보를 공유하는 것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있지 않았나 싶다"고 평가했다.
[서울=뉴시스]이윤청 기자 = 한국과 일본이 양국 국민에 대한 90일 무비자 입국을 중단한지 이틀째인 10일 오후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 국제선 청사에 일본 하네다 항공편 결항 안내 문구가 나오고 있다. 2020.03.10.  radiohead@newsis.com
강 장관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일본인에 대한 무비자 입국 중단과 기존에 발급된 비자의 효력 중지에 대해서는 '상응 조치'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다만 검역 차원에서 진행된 한일 간 조치는 "질적으로 다른 조치"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비자 제도에 관해선 상응으로 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무비자 협정을 맺을 때 일방이 취소하면 (상대도) 취소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며 "그런 면에선 상응이라고 하겠지만 검역에 있어서는 일본은 14일 격리를 시작했고 우리는 '올 사람은 오되 이 절차를 밟아주십시오'라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일본에 대한 추가 제한 조치 가능성에 대해선 "일본의 감염 확산 추세나 방역 상황을 지켜보며 추가 조치가 필요하면 검토하겠다"며 "격리보다는 입국 절차 강화를 통해 입국자를 철저히 모니터링하고 관리한다는 방침을 가지고 계속 대응해 나가야 될 것"이라고 밝혔다.

강 장관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이동제한령이 내려진 이탈리아 내 교민 지원 방안에 대해서는 "지금으로선 철수 계획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이탈리아 북부에 2000여명, 나머지 지역에 2000여명이 있는데 철수를 계획할 상황은 아닌 것 같다"며 "국내 항공편, 기차는 계속 운행이 되고 필요한 여행은 할 수 있는 상황인 것 같다. 이탈리아의 의료 체계가 상당히 선진적이기 때문에 발병하거나 확진되더라도 치료받을 수 있는 상황이라는 판단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lgh@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