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만점 보존…기록·기억 저장소 '서울기록원' 개원

기사등록 2019/05/15 06:00:00

서울시 최상위 '기록물 관리 전문기관'

시정과 공공기록물 수집·관리·영구보존

비용 10분의 1 절감 공법 국내 첫 도입

【서울=뉴시스】서울기록원. (사진=뉴시스 DB)
【서울=뉴시스】배민욱 기자 = '서울기록원'이 약 2개월간의 시범운영을 마치고 15일 정식 개원한다.

서울시에 따르면 은평구 서울혁신파크 내에 위치한 서울기록원은 서울시정과 시민의 과거와 현재를 아우르는 130만여점의 공공기록물을 수집해 체계적으로 정리·보존·관리할 오프라인 저장소다. 2016년 4월 첫 삽을 뜬 이후 약 3년 만이다.

'서울기록원'은 지하 2층~지상 5층, 연면적 1만5004㎡ 규모다. 전문 보존공간(지하 1~2층), 시민참여 공간(지상 1~3층), 기록물 작업공간(지상 4층)으로 구성됐다.

특히 서울기록원은 법률에 근거한 최상위 기록물관리기관(아카이브·Archives)이다. 외국의 경우 아카이브가 박물관, 도서관과 함께 3대 문화유산기관으로 불리고 있다. 런던, 파리, 뉴욕 등에서는 이미 수십, 수백 년 전부터 도시 차원의 아카이브를 보유하고 있다.

'서울기록원'은 토지이동측량원도, 면적측정부, 각종 사업 관련철 등 시가 보유한 100여년 동안의 기록물과 앞으로 30년간 생산될 예측분까지 포함해 총 130만여점을 영구 보관할 수 있다.

시는 당초 설계 단계에서 보관 가능 규모를 100만여점으로 예상했지만 실제 서가 배치 후 130만여점으로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올해 하반기에는 1968년부터 경북 청도의 서울시 문서고에 보관돼 온 시 중요기록물 11만권(점)이 모두 이곳으로 이관된다.

행정 종이문서, 사진, 디지털문서, 영상 같은 '시정 기록물'뿐만 아니라 세월호 참사 당시 서울광장 분향소에 시민들이 남긴 추모리본과 추모글 같은 시민의 기억도 '사회적 기록물'로 서울기록원에 영구 보존된다.

'서울기록원'은 국가기록원 못지않은 수준의 관리 장비와 역량도 확보했다. 기존에 각각 따로 진행하던 소독과 탈산 처리는 하나로 통합해 동시에 진행된다. 비용을 10분의 1로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공법이 국내 최초로 도입된 것이다.
【서울=뉴시스】서울기록원. (사진=뉴시스 DB)
시민참여 공간은 기록물들을 통해 서울의 이야기를 경험하고 체험하는 '스토리+공유 아카이브' 콘셉트로 운영된다. 시민들이 기록물을 자유롭게 찾아볼 수 있는 열람실을 비롯해 기록전시실, 보존과정을 직접 눈으로 볼 수 있는 개방형 서고 등이 있다. 

기록물 작업 공간은 훼손된 기록물을 전문가들이 복원 작업하는 복원처리실을 비롯해 문서·시청각자료 등 다양한 기록물을 영구보존 할 수 있도록 작업하는 전자자기 매체작업실, 시청각기록물 처리실 등으로 운영된다.

시는 이날 오전 10시10분 서울기록원 앞 광장에서 박원순 서울시장과 시민 등 3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개원행사를 열고 이달 말까지 전시, 사진이벤트, 특별강연, 컨퍼런스 등의 개원기념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서울기록원' 운영시간은 매주 화요일~일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다. 1월1일, 설·추석(당일)을 제외한 모든 공휴일에 문을 연다. 각종 행사·운영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achives.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 시장은 "서울기록원이 서울의 백년, 천년 역사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공적기록은 독점의 대상이 아닌 더 나은 내일을 위해 미래세대로 물러줘야 할 공공재산"이라며 "시민의 알 권리를 위해 서울기록원을 기록을 가두는 공간이 아닌 시민과 공유하고 나누는 공간, 서울의 과거와 현재를 미래로 이어주는 기억저장소로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mkbae@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