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주 아트클럽]안병광 회장의 서울미술관

기사등록 2019/01/23 09:42:45

부암동 '석파정 미술관'으로 유명...연간 15만명 관람

개관 7년만에 지상 3층 신관 오픈...젊은 작가 무대로

안회장 기획 '거인'전 눈길...김환기 정상화등 대형 명품 한자리

【서울=뉴시스】 서울미술관 안병광 회장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기자 = '미술관 부심' 2인자라면 서러울 남자가 있다. 서울 부암동 서울미술관 설립자 안병광(62) 유니온 약품 회장이다.

조선 말기 왕족 정치가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별장이었던 석파정(서울시 유형문화재 제26호)을 품고 있는 미술관이다. 2012년 8월, 4만9500㎡(1만5000평) 지상 3층 지하 3층 규모로 개관했다. 원래는 유니온 약품 사옥 부지를 지으려 했지만 문화재인 석파정 때문에 미술관을 짓게 됐다. 

개관 전시에 이중섭 유화 '황소'(1953)를 선보여 화제가 됐다. 2010년 서울옥션 경매에서 35억6000만원에 팔렸던 그림으로 안 회장이 국내 'VVIP 컬렉터'라는 사실이 공개되어 주목받았다. 이 때문에 세무조사를 받았다. '그림 산 게 죄가 아닌데' 가슴앓이를 했다.

'비싼 황소가 있는 미술관'이지만 '석파정 미술관'으로 더 유명하다. 겸재 인왕산 그림속으로 들어온 듯한 석파정은 보는 그대로 사진작품이 된다. 빼어난 풍광이 압권으로 미술관 관람객이 꼭 찾는 공간이다. 그래서 건물 주변도 신경쓴다.  수백 년 나이를 자랑하는 모과나무, 회화나무, 산수유 등은 안동, 영주, 구례 등에서 공수했다. 사랑채, 별채, 안채 등 건물 4채로 구성된 석파정 한옥엔 안 회장 부부가 산다. 폐가로 변해가던 150년된 고택을 65억원에 인수해 2년간 20억원을 들여 보수 공사를 했다. "문화재를 지킨다"는 자부심이 크다.

최근 석파정 아래에 또 하나의 미술관을 지어 개관했다. 총면적 990㎡(300평)에 지상 3층 규모로, 통유리창인 2층 전시장은 석파정이 그림처럼 담긴다. 신관은 청년 작가들에게 기회를 더 제공할 예정이다. 전시장도 벽을 툭 터서 작가들이 자유롭게 어울릴 수 있게 설계했다.

큐레이팅 욕심도 냈다. "미술관을 유한 마담들의 놀이터가 아니라 감성적인 공간으로 만들겠다"는 초심을 살렸다. 신관 개관전은 안 회장이 직접 기획했다. 김환기 이우환 정상화 박서보 김창열 서세옥 곽인식의 대형 작품을 건 '거인' 전시는 그야말로 입이 쩍 벌어진다. 경매사에서 극진히 대접할 만한 고퀄리티 작품들이다. 당장 팔아도 수억, 수십억은 받을만한 작품값도 튕겨진다. 특히 김환기의 푸른 점화 '십만 개의 점 04-VI-73 #316'이 미술관 설립이래 첫 공개돼 눈길을 끈다. 김환기 작품 중 '베스트 오브 베스트'로 한국 회화사의 기념비적 작품으로 평가받는 명작이다.

층고 5m로 200호 대작들이 여유롭게 걸렸다. 국내 최고 화가들의 대형 회화는 그림 보는 맛을 제대로 전한다. 달항아리(이천도예명장 권영배)도 함께 어우러져 우리 전통도자의 아름다움을 온 몸으로 느끼게 한다. 모두 안 회장이 구입한 소장품이다.

미술품 경매시장은 2000억대로 판이 커졌지만 국내 컬렉터들은 베일에 싸여있다. 기업의 비자금 조성 등 돈세탁 이미지 때문이다. 이런면에서 안 회장의 비싼 소장품 공개는 이례적이다. 툭 까놓고 '나 이런 작품 있다'고 하는 자랑이다. 색안경을 끼게 할 빌미다. 하지만 미술관에서 대놓고 작품 공개는 '팔지 않겠다'는 선언이기도 하다.

미술관 운영은 '행복 끝 고통 시작'이다. 소장품 전시와 입장료만으로 유지하기 힘들다. 미술관 개관 후 2~3년도 채 못가서 카페나 음식점으로 변하는 이유다. 서울미술관도 개관 후 3년간 34억원 적자가 났다. 미술관 등록도 안해 정부 지원금도 받지 못한다. 소장품은 500여점이 넘어 미술관 등록 요건은 충분하지만 '자력 갱생'하겠다는 의지가 크다. 미술관으로 등록이 되면 전기세 감면이난 세제혜택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지원금에 의존하다보면 자립도가 떨어지고, 요건에 맞춰야 할 간섭으로 정부나 지자체 눈치를 보게 된다는 우려도 작용했다. '큰 손 컬렉터'가 미술관 설립 등, 사회적 공공역할에 적극적으로 기여 할 수 없는 현실이라는 것을 역설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석파정은 권력과 권세의 상징이었다. 갑과 을의 비굴함이 뒹구는 정치와 이념의 공간이었다. 그런 땅을 문화공간으로 바꾼건 30년간 컬렉터로서 누린 기쁨을 나누고픈 마음에서다. '미술품은 공공재'라는 공공의 가치를 실현하고 있다.

그림의 힘을 안다. 강렬한 경험 덕분이다. 1983년 26살 제약회사 골찌 영업사원 시절, 비를 피해 들어간 액자가게 처마 밑에서 이중섭 '황소' 그림을 보면서다. 뼈만 앙상하게 남았는데도 앞으로 세차게 전진하려는 '황소'를 보고 용기를 얻었다.

주머니에 있던 7000원을 털어 사진으로 인화된 '황소'를 사면서 이런 꿈을 꿨다. "내가 돈을 벌면 이런 그림 한 점 샀으면 좋겠다." 1988년 의약유통업체 유니온약품을 설립, 연간 매출 5000억원대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27년 후인 2010년 52세때 '진짜 그림' 황소를 낙찰받았고, 미술관 건립도 운명처럼 다가왔다. 그림은 사람들을 부른다. 1년에 2회 다양한 기획전으로 주목받았다. 개관 7년, 연간 15만명이 관람하는 미술관으로 거듭났다.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기자 = 서울 부암동 서울미술관과 석파정

미술관 사업은 사익추구와는 거리가 멀다. 물건을 파는 장사가 아니다. 돈이 많아서, 그림이 많아서 할수 있는 사업도 아니다. 자기만족으로 시작한 '자존감의 끝판왕'사업이지만 결국 사회 공헌 소명감이 없으면 실현하기 힘들다. 어찌보면 나라를 위해 헌신하는 '현대의 독립투사들'이다. 백범 김구선생이 '나의 소원'에서 '오직 한 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文化)의 힘"이라고 했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 행복을 주기 때문이다.“

제약회사 꼴찌 직원에서 사장이 되고 컬렉터가 되어 미술관을 만든 그는 '문화의 힘'을 안다. "서울미술관을 통해 문화강국의 꿈을 실현할 수 있다"고 믿는다.

경기 침체속 몸집을 불려 따가운 시선도 있다. '황소'가 키운 뚝심으로 버텨왔다. 관람객을 보면 마음이 뿌듯해진다는 그가 행복한 모습으로 이 노래를 들려줬다.

'알몸으로 태어나서/옷 한 벌은 건졌잖소/우리네 헛짚는 인생살이/한세상 걱정조차 없이 살면/무슨 재미 그런 게 덤이잖소~'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기자 = 안병광 유니온약품 회장이 처음올 공개한 소장품 김환기의 푸른 점화 '십만개의 점'이 신관 개관 기념전으로 선보인다. 그림 앞에 의자를 배치해 앉아서 관람할수 있다.


 hyun@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