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 민주주의 가치부터 실천, 국가 제도까지 연계 교육
獨 나치 전체주의 반성·동서 통일·EU 사회통합에 중점
英 도덕적 책임과 지역사회 참여, 정치적 소양 강조해
美 국가교육 주요 목표로 설정…미디어 리터러시 방점
해외 선진국은 일찍이 시민교육을 의무화하거나 보편교육으로 편성해 운영해왔다. 실제 교과서를 살펴보면 자유와 정의 등 기본적인 민주주의 가치부터 권리와 의무 등 시민으로서의 행동양식, 국가의 민주주의가 작동하는 방식 등에 대해 폭넓게 가르치고 있다.
교육부도 프랑스, 영국 등 민주시민교육 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우리식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기본계획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프랑스는 비판적·능동적 시민을 길러낸다는 목표로 지난 2015년 교육과정 내 '시민교육'을 의무화하고, 과목명을 '시민도덕교육'으로 바꿨다. 프랑스 시민교육에 해당하는 중학교 역사·지리 교과서와 고등학교 시민·사회·법 교과서에 포함돼 있다.
중학교 교과서는 학생이 몸담은 학교 공동체부터 시작해 일상생활과 민주주의와 개념을 연결하고 시민성을 기르는 방향으로 구성돼 있다. 1학년 때 학교의 의미, 개인의 권리와 의무, 공동체와 환경 보호를 주제로 배우며, 2학년은 평등과 제도화된 연대(복지), 안전을 주제로 다룬다. 3학년은 자유와 권리, 프랑스의 시민, 인권, 유럽 통합을 배우며, 4학년 때는 시민과 공화국, 민주주의 개념과 권리 구조, 시민성, 논쟁, 평화 등을 다루게 된다.
고등학교 교과서는 1학년 때 사회생활과 시민성을 주로 다루며, 시민의식, 통합, 노동, 가족관계의 변화를 주제로 다룬다. 2학년 때 제도와 시민성 실천을 주제로, 정치권력과 정치참여, 개별성, 시민으로서의 의무를 담았다. 3학년 때 현대사회의 변동 등 진행 중인 현안에 집중한다. 과학기술과 새로운 정의·평등, 유럽연합(EU)의 건설, 세계화의 양태 등을 주제로 한다.
다른 서구 국가들도 각 사회·역사적 배경에 기반한 민주시민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독일은 연방제로 운영되는 만큼 주(主)가 교육을 주도해 차이는 있지만, 2010년대 들어 ▲EU 이후의 사회통합 ▲통일 이후 사회통합 ▲미디어와 민주주의 ▲난민 문제와 정치·사회적 인구 변동 등을 주요 주제로 다루고 있다.
영국은 1997년 크릭 보고서(Crick's Report)를 기반으로 중등교육에서 '시민과목(Citizenship Education)'을 필수화 했다. 차브(chav) 계층을 중심으로 각종 청소년 문제가 발생하고 정치 무관심에 대응하기 위해 민주주의 발전과 사회 통합을 위해 도입한 것이다. 시민과목은 사회·도덕적 책임감과 지역사회 참여, 정치적 소양 세 가지를 강조한 내용으로 구성돼 있다.
미국은 민주주의 체제 유지·운영을 위해 사회과 국가교육과정(NCSS)에 주요 목표로 포함했다. '시민(Civics)', '사회과목(Social Studies)' 등 교과를 통해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웹 2.0 도구인 온라인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활용해 시민 및 정치 콘텐츠의 소비와 유통, 토론, 제작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다양한 매체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며,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를 분석·평가·소통할 수 있는 능력인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교육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dyhlee@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