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자형·김채규·강세병 교수 공동 연구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온라인판 게재
【울산=뉴시스】구미현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암 세포만 공격하는 고효율 나노입자 치료제의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
UNIST(울산과학기술원)는 자연과학부의 유자형·김채규 교수와 생명과학부의 강세병 교수 공동 연구팀이 체내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약물 전달체 플랫폼 기술과 물질'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 IF:12.353) 11월 1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약물 전달체는 글자 그대로 치료제를 담아 표적으로 삼은 세포에 전하는 물질이다. 기존에도 수만 가지의 약물 전달체가 개발됐지만 실제로는 효과가 미미했다.
연구진은 우선 재조합 DNA를 이용해 '매우 안정한 부분'과 '암세포에만 달라붙는 부분'을 가진 재조합 단백질을 만들었다. 이후 이 단백질로 약물을 전달할 나노 입자 표면을 둘러싸 보호막으로 활용한 '약물 전달체(PCSN)'가 만들어진 것이다.
이 물질이 실제 생체환경에서도 작동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단백질학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기존보다 10배 정도 효율이 높아진 것으로 드러났다.
면역세포와 암세포를 이용한 약물 전달 효과도 살폈다. 단백질 보호막 약물 전달체는 오랜 시간 생체환경에 노출돼도 면역세포에 잡히지 않으면서 암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었다. 또 암세포를 가진 생쥐 실험에서도 기존에 보고된 약물 전달체에 비해 암세포를 더 잘 공격하면서 생체에 독성도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유자형 교수는 "이번에 밝혀진 연구결과는 암 치료는 물론 다양한 질병의 진단과 치료, 열-광학 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며 "향후 재조합 단백질의 설계를 다르게 하면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플랫폼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나노 치료제 분야의 오랜 염원인 ‘만능 플랫폼’에 새로운 방법으로 접근 가능할 것"이라며 "새로운 '표적 지향형 약물 전달 시스템의 원천기술'을 확보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에는 UNIST의 오준용, 김한솔 석·박통합과정 연구원과 엘.팔라니쿠마(L.Palanikumar) 박사가 공동 1저자로 참여했다. UNIST 연구지원본부의 서정곤 교수와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곽상규 교수도 함께 참여했다.
gorgeouskoo@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