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권위의 맨부커상을 한국인 최초로 수상한 '대작(大作)'의 영광이 '대작'에 묻혔다. 문단의 기쁨을 미술이 휘저어놓은 셈이 됐다.
이는 '염치의 문제'다. 미술계는 진중권 교수가 앤디워홀을 예를 들며 개념미술이나 미술사적으로의 접근은 과분하다는 반응이다.
진 교수가 "앤디 워홀은 '나는 그림 같은 것을 직접 그리는 사람이 아니다'라고 자랑하고 다녔다"고 한 것처럼 워홀은 "그림을 직접 그리지 않는다"고 당당히 밝혔다.
문제는 여기에 있다. 조영남의 작품을 구입했었다는 한 컬렉터는 "그가 10만원주고 그려온 그림"이라면 "사지 않았을 것"이라고 했다. "A씨가 8년간 작품의 90%를 그렸다"는 폭로가 어쩌면 핵심이다.
조영남은 감췄다. 10만원을 주고 그리면서, 자신이 혼자 그린 것처럼 하고 판매를 한 것이 문제다. 네티즌이나 미술계 반응이 싸늘한 이유다.
조영남이 “화가들은 조수를 다 쓴다. 오리지널은 내가 그린 것으로 내가 갖고 있고 그걸 찍어 보내 주면 똑같이 그려서 다시 보내 주는 게 조수”라고 해명했지만, 그는 전시를 열때나, 인터뷰에서도 조수와 함께 그림을 그린다고 말한적이 없다.
문제가 터지자 "무명 화가 A씨에게 세밀하고 디테일한 작업을 요구한 것은 맞지만, 대부분 A씨가 그렸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고만 강조하고 있다.
'미술계에서 관행'이라고 하지만 조영남의 경우는 다르다. 방송에 나와 시시콜콜 사생활을 드러내며 '말로 먹고 사는 사람'이 조수 자랑을 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노래로 따지고 보면 '립싱크'다. 가수가 리사이틀을 하는데, 똑같이 생긴 사람에게 10만원을 주고 몰래 무대에 서게 한 것과 같은 모양새다.
조영남은 스스로 가수 겸 화가라며 '화수'라고 했다. '엄밀히 말하면 화가는 아니다'는게 화상, 작가들의 생각이다.
반면 조영남의 '화투그림'은 세계 어디에도 없는 '조영남표' 작품이다. 별볼일 없는 일상 용품을 화폭에 올려놓는 순간, 미술작품이 됐다. '레디메이드(ready-made)' 미술의 창시자 마르쉐 뒤샹(1887~1978)도 박수칠만한 작품이다. 그래서 '콘셉트 있는 작품'이라는 두둔도 있다.
뒤샹은 '회화는 망했다'며 변기를 전시장에 갖다놓고 오직 사인 하나만으로 미술사의 흐름을 바꿨다. 복제의 복제, 기성품들을 새로운 차원으로 옮겨 놓은 이 변기는 현대 자본주의, 대량 생산 시대, 화가의 손을 해방시킨 장본인이다. 개념미술의 탄생이다.
조영남은 방송에 '화투그림'을, 그리는 모습을 자주 노출시켰다.
조영남을 잘 안다는 한 전시기획자는 "대작이 법적으로 문제없지만 도덕적으로 문제 있다"고 했다. '잘했다, 잘못했다' 개념이 아니라 "장르(가수화가)를 넘나들면서 직접 못 그리면 그리지를 말아야지"라고 지적했다.
'화가'와 '연예인 화가'는 이마트와 화랑의 차이와 비슷하다. 인테리어 작품은 이마트에서 살수 있다. 현재 완성되어 있는 '상품'을 사는 것이다. 하지만 화랑, 미술관에서 작품 구입은 그 작가의 미래의 비전과 가치까지 사는 것이다.
작가들은 '예술에 혼을 바친다'. 10년, 20년 무명을 견디고, 목숨걸고 작업을 한다. '연예인 화가'들은 유명세만으로 그동안 알게 모르게 작가들에게 상실감을 제공했다. '수백만~수천만원짜리 작품이 '솔드아웃'됐다고 기사로 도배되며 진짜 화가들의 기를 꺾기도 했다.
이번 사태는 가수겸 화가의 자업자득이다. 몰래 '대작'한 그림을 두고 '미술계 관행이냐 사기냐'는 논쟁의 가치도 없다. 돈 문제, 감정 문제가 있다면 법에서 해결할 문제다.
hyun@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