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 공간 확충, 투자유치·글로벌 진출 지원 확대 등
![[대전=뉴시스]창업기업의 경쟁력을 키워 글로벌 기업으로의 도약을 지원하는 '대전스타트업파크 본부'가 18일 공식 출범했다. (사진=대전시 제공) 2025. 03. 1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3/18/NISI20250318_0001794693_web.jpg?rnd=20250318172433)
[대전=뉴시스]곽상훈 기자 = 대전이 창업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본격적인 첫 발을 내디뎠다.
대전시는 창업기업의 경쟁력을 키워 글로벌 기업으로의 도약을 지원하는 '대전스타트업파크 본부'가 공식 출범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개소식에서는 이장우 시장을 비롯해 중소기업벤처부 임정욱 창업벤처혁신실장, 조원휘 대전시의장, 조승래 국회의원, 정용래 유성구청장 등 기업관계자 150여 명이 참석했다.
대전스타트업파크는 2020년 중소벤처기업부의 스타트업파크 조성 공모사업에 선정돼 총사업비 422.3억 원(국비 166억 원, 시비 276.3억 원)이 투입된 대규모 창업지원 공간이다.
지하 2층 ~ 지상 4층, 연면적 1만 1592㎡ 규모로 건립된 본부는 작년 말 준공, 창업기업의 성장과 글로벌 진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장우 시장은 2025년을 '일류 경제도시 완성의 해'로 선언하고 장기적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100개 상장기업 육성을 목표로 제시한 바 있다. 이번 대전스타트업파크 본부 개소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창업기업이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글로벌 시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전략적 지원을 다양하게 펼쳐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창업기업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본부 입주 공간을 대폭 확충했다. 본부에는 총 27개 창업 공간이 마련됐으며, 현재 22실이 입주 완료됐고 나머지 5실은 추가 모집 중이다.
창업기업의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해 규모가 큰 7인실 이상 공간도 확대했다. 이를 통해 성장기업의 지역 외 유출을 방지해 지역에 안정적 정착을 유도할 계획이다.
시는 민간 협업을 통한 창업 공간 확충과 투자유치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하나은행과 한국수자원공사 등 민간 기관과 협력해 창업 공간을 신규 조성하고 투자유치 연계를 강화한다.
현재 궁동 일원에 7개 동, 54개 창업 공간을 운영 중이며, 월평동까지 확장해 총 12개 동, 117개 창업 공간을 마련할 예정이다.
투자기관 입주도 확대한다. 액셀러레이터(AC), 벤처캐피털(VC), 대전투자금융 등이 창업 공간에 입주해 기업과의 연결을 강화할 예정이다. 또 '스타트업코리아 투자위크(SIW)' 행사의 내실을 다져 창업기업의 투자유치 기회를 확대한다.
성장기업이 대전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글로벌 진출 지원도 강화한다. 세계 최대 가전·기술 전시회인 CES 참가 지원을 확대해 2024년 20개 창업기업에서 올해 33개 기업(창업기업 23개, 성장기업 10개)까지 지원 대상을 늘린 바 있다.
이장우 시장은 "창업기업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궁동, 어은동, 월평동 일원을 중심으로 창업 공간을 확대하고 지속적인 컨설팅 및 투자유치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shoon0663@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