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P-1 미용목적 아닌 당뇨∙비만치료제"
"GLP-1∙GIP계열 인크레틴주사 신중해야"
대한당뇨병학회와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는 지난 1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국내 당뇨병 환자와 당뇨병∙비만치료제 현황을 들여다보고 인크레틴 주사제의 적절한 사용 방안을 논의하는 ‘당뇨병 관리의 패러다임을 바꿀 새로운 당뇨병-비만치료약, 어떻게 대처할 것인 것인가’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승환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대한당뇨병학회 비만당뇨병 TF 팀장)는 1부 ‘당뇨병 환자에서 비만 진료와 치료’를 주제로 한 발표에서 “최근 10년간 비만과 복부비만이 꾸준히 늘고 있는데 당뇨병 유병자 중 절반 이상이 비만과 복부 비만을 동반하기 때문에 적절한 체중 관리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대한당뇨병학회가 발표한 ‘2024 당뇨병 팩트시트’에 따르면 국내 당뇨병 유병자 중 53.8%가 비만을 동반했고, 복부비만을 동반한 당뇨병 유병자는 61.2%에 달했다.
이 교수는 “체중 감량은 2형(성인) 당뇨병을 비롯한 심혈관질환, 지방간염, 심부전 등의 위험을 줄일 수 있지만 생활 습관 개선, 기존 비만치료제 사용, 초저열량식 등으로 10% 이상 체중을 감량하고 유지하는 것은 굉장히 어렵다"면서 "20~30% 체중 감량 효과가 있는 비만대사수술은 위 절제와 같은 침습적 방법이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GLP-1, GIP는 기존의 그 어떤 당뇨병 약제보다 당화 혈색소 감소, 체중 감량에 효과적이라는 임상연구 결과가 나온 만큼 향후 더 기대가 되는 약제"라면서 “당뇨병 환자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혈당 조절 뿐 아니라 체중 조절이 우선시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성희 서울의대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대한당뇨병학회 홍보이사)는 ‘당뇨병 환자의 비만 진료 및 관리에 있어 GLP-1 주사제의 역할’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GLP-1 약제의 안전성과 효과를 소개하고 새로운 당뇨병∙비만 치료제의 처방 기준과 대상을 준수할 것을 당부했다.
최 교수는 “GLP-1로 가장 이익을 볼 사람은 체질량지수(BMI)가 30 이상이고 당뇨병과 심혈관질환이 있는 환자군이라고 볼 수 있지만, 실제 처방 비율이 가장 높은 집단은 BMI 25 정도의 비만과는 거리가 먼 청장년 여성층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당뇨병이나 심혈관질환을 동반한 고도비만의 상당수 환자는 새로운 치료제를 지불할 능력이 없는 반면, 비만하지 않은 사람들이 미용 목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이 역설적”이라면서 목적에 맞는 처방이 가능하도록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새로운 당뇨병∙비만 치료제의 잠재적인 부작용을 고려해 신중하게 처방해야 하고, 처방 후에는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차봉수 대한당뇨병학회 이사장(연세대 의대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교수)은 “새로운 당뇨병∙비만 치료제는 정말 필요한 사람에게 사용되면 좋은 약제임이 분명하지만, 미용 목적으로는 권장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2부 종합토론에서는 최자영 의료소비자연대 의료사고연구소장, 안광수 식품의약품안전처 바이오의약품품질관리과장, 이지현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 홍보이사(한국경제 기자), 이용호 대한당뇨병학회 총무이사(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이중규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정책국장이 패널로 참여해 새로운 당뇨병∙비만 치료제의 안전한 사용과 건강보험 급여 적용에 대해 논의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positive100@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