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구청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이전·개발 공론회 개최
참석자 "공영개발 추진", 주민 "이전 역할 주체 1위는 市"
공식 입장 표명 안 한 市 "공영개발 한계… 의견 수렴 중"
광주시는 공공 개발의 한계와 구체적인 법안이 마련 등을 고려해 신중을 기하는 입장이다.
이날 오후 광주 광산구청 7층 윤상원홀에서는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및 주변지역 발전방향 모색 주민 공론장'이 열렸다.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이전 이후 부지 활용 방안과 연계 개발을 위해 주민과 관계기관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서다.
이날 공청회에는 주민, 금호타이어 노·사, 의원, 광산구청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주민들은 토의를 통해 금호타이어 이전시 부지 활용 방법에 대해 '녹지 공간' '지역 인재를 키울 수 있는 특성화 학교' '다문화 인구 수용 공간' 등 공공성을 띄는 활용안을 제시했다.
참석자들은 이전 이후 부지 개발 방식으로 '공영개발'을 꼽았다.
정재봉 광산구 의원은 금호타이어 공장 이전 부지 활용 방안을 두고 "개발의 투명성과 공공성을 담보하고 시세차익을 노린 땅 주인의 이른바 '먹튀' 논란을 불식하기 위해 공영개발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LH 한국토지주택공사 광주전남지역본부 관계자도 "용도변경을 전제로 한 부동산 개발은 공영개발 방식이 최선의 선택지 중 하나"라며 "여러가지 사례가 증명하고 있다. 공영개발에 대한 시민 관심이 필요하다"고 했다.
광산구는 공론장을 통해 '공장 이전 노력 주요 주체'에 대한 주민 투표 결과를 공개했는데, 주민 대다수가 '광주시'의 역할을 1순위로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 주민(1015명)의 38.6%가 광주시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뒤이어 금호타이어 27.6%, 광산구 13.9%순이었다.
이날 공장 이전과 관련해 논의 주체인 구청, 의회, 금호타이어 노·사 관계자 등이 발언에 나섰지만 광주시는 부서 담당자만 참석할 뿐 별다른 입장 표명은 하지 않았다.
다만 광주시는 주체적인 이전 역할에 있어 매우 신중한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시 관계자는 "공영개발은 막대한 예산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고려해야 할 부분이 많다. 공간혁신구역지정 또한 법 기반이 최근 마련돼 구체적인 법안이나 선례가 없기 때문에 섣불리 나섰다가 토지주에게 시세차익만 주고 공공성을 담보하지 못할 가능성도 크다"며 "이전 관련해 현재 여러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hyein0342@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