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싱가포르 스트레이츠타임스 등 외신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정부는 테무가 현지 진출을 신청한 2022년부터 이 같은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부디 아리에 세티아디 인도네시아 통신정보부 장관은 최근 한 방송에서 "테무는 인도네시아 중소·영세업체들에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들어올 수 없다"며 "우리는 (테무에) 기회를 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자국의 온라인 공간에 대해 "사회를 더 생산적이고 수익성이 있게 만드는 것들로 채워져야 한다"며 "그대로 두면 우리 중소·영세업체들은 파괴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피키 사타리 중소기업·협동조합부 장관 보좌관에 따르면 테무는 2022년 9월부터 지금까지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3차례 등록을 시도했다. 최근에도 테무는 등록을 신청했지만, 인도네시아 기업이 같은 상표명을 쓰고 있어서 거부됐다고 피키 보좌관은 설명했다.
앞서 지난 6월 테텐 마스두키 중소기업·협동조합부 장관은 테무가 중국 바이트댄스의 영상 플랫폼 '틱톡'의 쇼핑 서비스인 틱톡숍보다 더 큰 위협이 된다고 말했다.
틱톡숍은 2021년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하며 급성장했다. 이에 인도네시아 정부는 지난해 10월 자국 전자상거래 업계를 보호한다며 소셜미디어(SNS)에서 물건을 판매하지 못하도록 조치했다.
그러나 틱톡은 지난 2월 인도네시아에서 두 번째로 큰 쇼핑 플랫폼인 '토코피디아'를 15억 달러에 인수하며 우회적으로 영업을 할 수 있는 길을 텄다.
글로벌카운셀의 지아위 리 수석연구원은 "테무의 성공은 저렴하고 브랜드가 없는 제품을 제공하는 데 기반을 두고 있다"며 "이 플랫폼은 판매자에게 경쟁자보다 낮은 가격을 책정하고 가격을 낮추라고 지속적으로 압력을 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테무가 인도네시아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인도네시아의 인구가 많고, 가격에 민감한 인구가 매력적인 시장이라고 분석했다.
리 연구원은 인도네시아 시장의 잠재력을 감안할 때 "테무가 그렇게 쉽게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인도네시아 시장 진출을 위해 해외 창고 건설 자금 지원 등 더 많은 자원을 할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테무는 미국, 프랑스, 독일, 호주, 뉴질랜드를 포함한 60개국 이상에서 운영되고 있다. 지난해 8월과 9월 필리핀, 말레이시아에 각각 진출하고 지난 7월에는 태국에서도 영업을 시작하는 등 최근 동남아 시장으로 사업 영역을 넓히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dazzling@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