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이수지 기자 = 국가유산청은 '영주 무섬마을' 내 대표 고택 만죽재고택, '해우당고택과 생활유물들을 국가민속문화유산 '영주 만죽재·해우당 고택 및 유물 일괄'로 지정 예고했다고 7일 밝혔다.
'만죽재고택'은 조선시대 병자호란 이후 1666년 반남박씨 박수(1641∼1729)가 무섬마을에 와서 지은 고택이다. 마을을 맨 먼저 개척해 정착한 조상부터 13대까지 장손이 360년간 집터와 가옥을 온전히 지켜오고 있다.
집터와 가옥의 배치와 평면, 주변 환경이 큰 변형 없이 원형 그대로 잘 보존되어 있다.
국가유산청은 고택의 'ㅁ'자형 평면 형태는 조선 중·후기 상류주택을 대표하는 유교적 종법질서의 표현 방법으로서 중요한 건축적 특징이 있다고 평가했다.
경북 북부지방에서 보편적으로 보이는 전형적 뜰집 형태다. 뜰집은 안채, 사랑채, 부속채 등이 하나로 연결되어 'ㅁ'자형을 이룬다.
교육과 시문학 장소로 사용됐던 고택 뒤 섬계초당은 내성천과 무섬마을 전체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곳에 있다. 지난 2008년 새롭게 복원되어 역사적 가치를 이어가고 있다.
고택과 함께, 만죽재 현판과 원본글씨, 문방사우(종이·붓·먹·벼루), 여물통, 통나무계단 등 생활 민속유물이 잘 남아 있다. 대표 유물인 역대 혼서지, 항일격문집, 규방가사집, 호구단자, 승경도 등을 포함해 '영주 만죽재 고택 및 유물 일괄'로 지정예고됐다.
'해우당고택'은 무섬마을의 선성김씨 입향조 김대(1732∼1809)의 손자 김영각(1809∼1876)이 1800년대 초반에 건립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의 아들인 해우당 김낙풍(825∼1900)이 1877∼1879년 고택을 수리한 후로는 해체수리공사가 없어 그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고택은 'ㅁ'자형 뜰집이다. 국가유산청은 안방에서 태어나서 목방, 작은사랑, 큰사랑, 빈소방으로 옮겨가는 생애주기와 생활을 유추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크다고 평가했다.
특히, 침수가 잦았던 무섬마을의 환경적 결점을 지혜롭게 해결하기 위해 야외에 장독을 두지 않고 장독 보관을 위한 장고방을 따로 뒀다.
집을 지키는 성주를 모셔두는 성주단지는 부엌이나 마루가 아닌 높은 다락에 둔 점, 높은 다락을 많이 만들어 수납공간으로 사용한 점은 자연환경을 잘 극복한 좋은 사례다.
고택에는 출신 인물들의 학문적 깊이와 주변 인물과의 교류를 확인할 수 있는 다량의 고도서와 고문서 및 서화류, 탁본, 글씨 등의 자료가 전해지고 있다.
해우당과 대은정의 현판 및 글씨, 김낙풍이 작성한 과거답안지, 성주단지, 갓함 등 유물을 포함해 「영주 해우당 고택 및 유물 일괄」로 지정예고됐다.
국가유산청은 '영주 만죽재·해우당 고택 및 유물 일괄'에 대해 예고기간 30일 동안 의견수렴 후 문화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suejeeq@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