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 시스템, 물막이판 개선, 빗물받이 확대
기상청은 올 여름(6~8월) 기상 전망에서 평년보다 기온은 높고 강수량은 더 많을 것으로 전망했다. 서울에서 지난 2022년 기록적인 폭우로 큰 피해를 입은 만큼 각 자치구는 맞춤형 대책을 준비하고 있다.
25일 서울시와 자치구 등에 따르면 기후재난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방안을 담은 '2024 풍수해 안전대책'을 마련했다.
먼저 시는 기습호우가 예상되면 비가 내리지 않아도 비상근무에 돌입하는 등 선제적인 대비에 나선다. 저지대 침수피해를 막기 위해 건물 옥상, 운동장, 공원 등 가용부지에 빗물을 일시적으로 담는 '10㎝ 빗물 담기 프로젝트'도 시행한다. 강남, 사당역, 도림천, 양재천 등 주요 지역 저류기능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자치구들도 올해 10월15일까지 총 5개월간 풍수해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운영한다.
관악구는 저지대 지역이 많고, 도림천이 위치해 많은 양의 비가 내리면 수해 발생 위험이 큰 만큼 2012년부터 펌프장 신설, 저류조 설치, 하수관로 개량 등을 통한 침수 피해 예방을 위해 구조적 대책을 추진했다.
하천 범람에 대비해 별빛내린천 통수단면 확장 사업으로 하천 수위 저감 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보라매공원에서 한강으로 별빛내린천의 물을 신속히 배제할 수 있는 빗물배수터널 사업을 2028년까지 완료하고, 삼성동과 신림동 내 저류조 2개소를 추가 설치할 계획이다.
성동구는 지난 15일부터 재난안전대책본부를 24시간 운영하고 있다. 침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반지하주택 침수방지시설 설치도 지원 중이다. 현재 성동구의 중점관리가구에 대한 침수방지시설 설치율은 100%로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가장 높다.
은평구는 기습폭우를 대비한 하천 진·출입차단시설과 재난 예보·경보 시스템 구축, 긴급 상황 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CCTV 모니터링이 가능한 원격재난감시 시스템을 가동 중이다. 주민이 사전에 침수를 인지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침수 예보·경보제'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시행한다.
용산구도 올해부터 침수 관련 민원 발생이 잦고 보도 통행량이 많은 신용산역 5번 출구 앞 사거리와 보광동주민센터 인근 사거리 일대 CCTV 화면을 구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할 계획이다.
기존 불투명한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기존 물막이판의 경우, 막혀있는 듯한 답답한 느낌과 함께 채광·시야 차단 등 미관을 저해하는 요소가 있어 건물주가 설치를 거부하고 이로 인해 폭우 시 세입자가 침수피해를 보는 사례가 빈번하게 일어났다.
마포구는 지난해부터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를 이용한 투명 물막이판을 제작했고, 구민들의 반응이 좋아 897곳에 새로 설치했다.
영등포구는 각종 쓰레기와 퇴적물로 막힌 빗물받이 청소에 힘썼다. 지난 11일 최호권 구청장을 비롯한 구 간부진과 주민자원봉사단체 회원 등이 빗물받이 대청소를 실시했다.
특히 구는 효과적인 빗물받이 청소를 위해 '친환경 노면청소기(글루통)'와 '빗물받이 전용 흡입준설차량'을 활용해 안에 쌓인 쓰레기를 손쉽게 제거했다.
동작구 역시 도로 침수 피해를 막고자 연속형 빗물받이(선형 배수체계)를 확대 구축할 계획이다. 지난 2년간 신대방삼거리역(보라매로 방향) 인근 등 총 2715m 구간에 연속형 빗물받이를 신설했으며 올해는 내달 초까지 이수역~남성역 구간에 확충할 방침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lje@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