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뉴시스]강경호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와 각 시군이 미세먼지 저감 등 환경 보호를 위해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기차 인프라를 구축 중이다. 하지만 지원과 함께 늘어나는 전기차 화재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이 같이 따라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기자동차는 저렴한 유지비와 미세먼지 절감 및 환경 보호 등에 장점이 있어 최근 많은 시민들이 찾고 있는 차량이다.
전북의 각 시군 역시 이런 장점을 시민들에게 알리고자 일부 지자체는 전기 승용차량을 구매시 최대 1350만원, 화물차량은 최대 1800만원까지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정읍시의 경우 주차비 감면 등 충전 인프라 구축에도 함께 힘쓰고 있으며 전북자치도는 지난달 급속충전시설 확충을 위해 민간충전사업자를 모집했다.
이런 지원에 힘입어 전북 내 전기차 등록 현황은 증가 추세다.
한국전력거래소가 지난해 8월 발표한 '전기차 및 충전기 보급 이용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2019년~지난해 5월)동안 전북 내 등록된 전기차는 1841대에서 1만9795대로 1만7954대 증가했다.
이렇듯 지자체들이 많은 예산을 투입해 전기차 인프라를 구축하고 전기차 수가 늘어나고 있지만 그에 따라 전기차 화재 역시 함께 증가 중이다.
지난 2019년 7건이었던 전기차 화재건수가 지난해에는 72건으로 큰 폭으로 상승했다.
전기차 화재에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차 내부에 실린 배터리다.
전북소방본부 대응총괄팀 조창현 소방경은 "전기차 내 배터리는 충격을 심하게 받으면 화학 반응으로 인해 열폭주 현상이 발생한다. 이 현상은 오래도록 점차 진행되기 때문에 빠른 진화를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부분 사용하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배터리 팩으로 겹겹이 쌓여있어 소방용수가 들어가기도 어렵고 거기에 배터리 특성 상 물과 만나면 오히려 폭발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소화가 어렵다"고 덧붙였다.
전기차 충전시설의 경우 아파트 등의 건물 지하주차장에 위치한 경우가 많아 화재발생시 신속진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공고한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라 충전시설은 지하 3층까지만 설치할 수 있지만 지상에 위치한 경우가 아니라면 소방관들의 신속한 현장 접근이 어렵다.
이런 이유로 소방당국은 특수 장비를 보급해 대응 중이지만 충전시설 지상화 등의 제도는 권고 수준에 그치고 있고 이마저도 일부 지자체만이 움직이고 있다.
충전시설 지상화를 완료한 정읍시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전국 최초로 공동주택의 지하 충전시설을 지상으로 옮기는 사업을 펼쳤다"며 "새로 설치되는 충전시설도 지하가 아닌 지상으로 설치하는 것을 계속해서 권고 중"이라고 말했다.
전주시 관계자는 "소방 시설에 관한 부분은 시의원 발의 조례 개정 등을 통해 소화기 등 소화시설을 추가 구축 시 보조금을 주는 방안을 검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lukekang@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