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딜에는 그들이 있다[사모펀드의 세계①]

기사등록 2023/12/23 10:00:00 최종수정 2024/01/02 09:50:51

MBK파트너스, JKL파트너스 등 M&A 활동 '활발'

풍부한 자금력 바탕 공격적 투자 진행

[서울=뉴시스]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에 있는 한국앤컴퍼니 본사 사옥 모습. (사진=한국앤컴퍼니 제공) 2023.07.2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김경택 기자 = 사모펀드는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모은 자금을 주식이나 채권 등에 투자하는 펀드다. 최근 한국앤컴퍼니 경영권 분쟁에 참전한 MBK파트너스와 HMM 인수전에 뛰어든 JKL파트너스 등이 대규모 자금을 굴리는 국내 주요 사모펀드 운용사다. 사모펀드 운용사들은 주요 기업들의 M&A(인수합병) '빅 딜'에 있어 빠지지 않는 단골 손님처럼 등장하고 있다.

2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시장에서 사모투자펀드 운용사들의 활약이 도드라지고 있다. 국내 최대 사모펀드 운용사인 MBK파트너스와 사모펀드 운용사 JKL파트너스는 각각 한국앤컴퍼니, HMM 딜에 참전하며 위력을 과시하고 있다.

MBK파트너스는 조현식 한국앤컴퍼니 고문과 손잡고 한국앤컴퍼니 지분을 공개매수하는 등 경영권을 둘러싸고 지분 매입 경쟁을 벌이고 있다. MBK파트너스는 한국앤컴퍼니에 '지배구조 개선을 통한 기업가치 제고'를 이유로 경영권을 인수, 전문경영인 체제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JKL파트너스는 HMM 인수전에서 하림의 우군으로 나서며 수조원 단위의 빅딜을 성사시켰다. JKL파트너스는 프로젝트 펀드 조성을 통해 하림에 약 7000억원 수준의 HMM 인수 실탄을 지원할 것으로 알려졌다.

올 초에도 MBK파트너스는 유니슨캐피탈코리아(UCK)와 컨소시엄을 통해 국내 1위 임플란트 업체 오스템임플란트 경영권을 인수, 자진 상장폐지를 진행한 바 있다. 조(兆)단위의 굵직한 딜 뒤에는 늘 이렇게 사모펀드 운용사들이 등장하곤 한다.

사모펀드는 일반 개인투자자 등 불특정 다수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공모펀드와 태생부터 다르다. 사모펀드는 100인 이하의 소수 고액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아 주식, 부동산, 부실채권, 기업경영권 등 돈이 되는 곳을 찾아다니며 높은 투자 수익을 노린다. 국내 주요 사모펀드 운용사로는 한앤컴퍼니를 비롯해 MBK파트너스, 스틱인베스트먼트, IMM PE, IMM인베스트먼트 등이 거론된다. 이들은 풍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각종 딜에서 공격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사모펀드 시장은 계속해서 커지고 있다.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3분기 펀드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 3분기 말 기준 전체 펀드 순자산은 942조2000억원을 기록했으며 이 가운데 사모펀드 순자산은 612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공모펀드 순자산인 329조9000억원의 거의 두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사모펀드의 순자산 총액은 지난 2016년 공모펀드 순자산 규모를 추월한 이후 점점 더 격차를 확대하고 있다.

다만 사모펀드 시장이 커질수록 그에 대한 우려의 시선도 계속되고 있다.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사모펀드의 특성 상 고강도 구조조정, 자산 매각을 통한 이윤 극대화 등 부작용이 뒤따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시장은 지난 2003년 외환은행을 사들이고 되팔아 막대한 시세차익을 챙긴 미국계 사모펀드 '론스타' 사례를 기억하고 있다. 외국계 사모펀드가 국내 기업을 통해 '먹튀'를 시전하면서 정부가 국내 토종 사모펀드 키우기에 나섰지만, 사모펀드 규제 완화 이후 2020년 대규모 환매 중단이란 뼈아픈 부작용을 경험하면서 사모펀드는 여전히 '먹튀', '기업 사냥꾼' 등의 이미지를 떨쳐내지 못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mrkt@newsis.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