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의 미래는①]단군이래 최대 사업…정권마다 계획 바뀌어

기사등록 2023/11/13 13:30:09 최종수정 2023/11/13 14:25:28

식량파동 발생으로 1971년 박정희 정부시절 첫 수립

노태우 정부부터 국책사업…이후 여러번 바뀐 사업

【새만금=뉴시스】 총 연장 33km에 달하는 새만금 방조제가 오는 22일이면 연결된지 꼭 1년이 된다. 사진은 새만금 방조제 입구의 모습.(헬기제공=전북소방항공대) /권철암기자 cheol@newsis.com

‘가능할 것이다’라는 인간의 도전정신으로 시작한 새만금. 바다를 메워 새로운 땅을 확보하려는 인간의 개척정신과 도전정신이 집약된 그 산물이 바로 새만금이다. 현재는 간척사업을 통해 광활한 영토가 생겨나면서 대한민국의 서해안 지도가 바뀌었고 이제 그 부지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새만금 사업은 환경문제와 정치적 이슈로 활용되면서 여전히 새만금사업이 언제 마무리 될 것인지 의문이 생기고 있다. 이에 뉴시스는 새만금 사업의 역사와 갈등, 현재, 앞으로 나아갈 길까지 총 4차례에 걸쳐서 짚어본다.

[전북=뉴시스]최정규 기자 = 새만금은 전국 최대의 곡창지대인 만경평야와 김제평야가 합쳐져 새로운 땅이 생긴다는 뜻으로, 만경평야의 '만'(萬)자와 김제평야의 '금'(金)자를 따서 지어졌다. 전북 김제시의 김제·만경평야는 예부터 '금만평야'로 불렸는데 새만금은 이 ‘금만’이라는 말을 '만금'으로 바꾸고, 새롭다는 뜻의 '새'를 덧붙여 만든 말이다. 오래 전부터 옥토로 유명한 만경·김제평야와 같은 옥토를 새로이 일구어 내겠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단군이래 최대 간척사업의 시작

새만금 사업의 시작은 1971년으로 거슬러올라간다. 박정희 정부시절 세계적인 식량파동이 발생하자 ‘옥서지구 농업개발사업계획’이 수립했다. 바다를 메워 농업용지로 사용, 새로운 곡창지대를 만들겠다는 생각이었다.

1987년 12월 10일 노태우 대통령은 ‘새만금 사업을 최우선 사업으로 선정해 임기 내 이룩하겠다’고 선거공약으로 발표해 국책사업으로 추진되기 시작했다.

그렇게 1989년 11월 6일 새만금사업 기본계획이 확정됐다.

1991년 11월 28일 정부는 4만 100㏊(여의도 면적 140배)에 달하는 단군 이래 최대의 국토개발 사업의 첫 삽을 떴다.

이렇게 32.5㎞의 네덜란드 쥬다찌(Zuiderzee)방조제 보다 더 긴 33.9㎞에 달하는 세계 최장의 방조제 준공이 시작된 것이다.

단군이래 최대의 국토개발 사업이라 불린 사업의 이름만큼 새만금 방조제는 지난 2010년 8월 2일 기네스북에 등재되기도 했다.

【군산=뉴시스】박종민 기자 = 28일 오후 전체 길이 33.9Km에 달하는 세계 최장 방조제인 새만금방조제가 웅장한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지난 1991년 11월 착공된 새만금방조제는 모두 2조9,000억원이 투입된 국내 최대의 토목공사로, 연간 237만명의 인력과 91만대의 건설장비가 동원됐고 방조제 건설에는 모두 1억2,300만㎥의 토사가 투입됐다. 이는 경부고속도로 4차선을 13m높이로 쌓을 수 있는 어마어마한 양이다. 이렇게 완공된 새만금방조제는 그동안 세계에서 가장 긴 방조제였던 네덜란드 쥬다찌 방조제의 32.5㎞ 기록도 갱신, 곧 기네스북에 등재될 예정이다. jmc@newsis.com
◇정권마다 바뀐 새만금 계획

당초 새만금의 준공 목적은 식량파동을 이겨내기 위해 새로운 곡창지대로 활용하기 위함이였다. 초창기 새만금 사업의 계획에는 농지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세계적인 식량파동은 점차 쌀 소비가 줄어들면서 계획이 조금씩 수정되기 시작했다. 레저용지와 산업용지 등 다양한 방안이 거론됐지만 어느것 하나 확정되지 못한 채 새만금 사업은 갈피를 잡지 못했다.

김영삼 정부는 새만금을 대중국 교두보 및 해안시대중심지 육성차원의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공약을 걸었으며, 김대중 정부는 새만금을 황해경제권의 생산과 교역물류 전진기지 구축과 내부개발 특별법 제정, 복합산업용지로 용도전환, 신항만 건설을 공약하면서 당초 농업용지로 사용할 예정이던 새만금 부지의 방향이 교역물류 중심지로 바꿨다.

노무현 정부도 김대중 정부의 사업을 계승해 교역물류 중심지로의 개발을 추진했다.

이명박 정부에 들어서는 동북아 두바이 세계경제자유지역으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포항~새만금 고속도로를 건설하고, 새만금 종합관광과 과학 및 산업벨트 구축 등을 공약으로 내거는 등 현재의 새만금 사업의 기초를 닦았다. 새만금위원회 발족, 산업단지 착공, 새만금 종합개발계획(MP) 확정, 동서2축 예타 통과, 새만금특별법 제정, 새만금개발청 설립근거가 마련됐다. 박근혜 정부는 새만금 사업의 지속적 안정성을 추진했다. 새만금개발청이 설치되면서 새만금 사업의 중심 기관이 됐다.

새만금 사업은 문재인 정부들어 일부 수정된다. 새만금에서 4G 규모의 대단위 재생에너지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을 발표하며 새만금을 재생에너지 중심축으로 육성하는 비전을 제시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cjk9714@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