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주년 광복절]나라위해 희생했는데…후손 찾지 못해 먼지 쌓이는 훈·포장

기사등록 2023/08/15 07:00:00 최종수정 2023/08/15 07:29:05

일제 맞서 싸운 전북독립운동유공자 399건 훈·포장 후손 못찾아

후손찾기 역추적 벌이고 있지만 제적부 소실 등 어려움 많아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한덕수 국무총리와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 등이 5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국가보훈부 현판식을 갖고 있다. 국가보훈부는 1961년 군사원호청으로 출발한 지 62년 만에 이날 공식 출범했다. 2023.06.05. ppkjm@newsis.com
[전주=뉴시스]최정규 기자 = 전북 순창(淳昌) 출신인 김선여(1875~1910.7.1.) 옹은 1908년 4월 20일부터 1909년 3월 3일까지 의병에서 활동했다. 김 옹은 신보현(申甫鉉) 의진의 좌익장·선봉장으로 활동했다.

특히 그는 신보현 의병장의 지휘 아래 총기 약 250정과 도검 10자루를 휴대한 300여명의 의병부대를 이끌고 전북 순창·정읍(井邑)·태인, 전남 장성 등지에서 항일 무장투쟁을 전개했다.

김 옹이 활동했을 당시 국내 정세는 러일전쟁 직후 일제의 강요와 위협 아래 1905년 11월 체결된 ‘을사늑약(乙巳勒約)’에 대한 반발로 국권회복운동 중 의병운동의 중심이었다. 1907년 7월에는 ‘정미7조약’에 따라 군대가 해산됐고, 해산된 군인들이 대거 의병대열에 참여해 전국적 국민항일전쟁으로 확대되고 있는 상태였다.

김 옹은 1909년 3월께 신보현 의진에서 독립, 전북 순창군 백방산(柏芳山)에서 김재화(金在化)·김응선(金應先) 등 40여 명의 의병들을 규합해 의진을 편성하고, 의병장이 됐다. 이후 같은 해 11월경까지 총기 30여 정과 도검 3자루를 휴대한 40여명의 의병부대를 이끌고 전북 순창과 전남 장성 등지에서 항일 무장투쟁을 벌였다.

그러다가 김 옹은 일제에 의해 붙잡혀 1910년 3월 17일 광주지방재판소에서 교수형을 선고받았고 같은해 7월 1일 형이 집행돼 순국했다. 정부는 이러한 김 옹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전북 진안 용담출신인 성준문(1868~미상) 옹은 대한제국 군대의 하사 출신이었다. 1905년 을사늑약에 반대하기 위해 상경했다가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을 예방하고 함께 의병을 일으키기로 뜻을 세우고 지리산에 들어가 거의했다.

1908년 12월에는 호남창의대장(湖南倡義大將)에 추대돼 13도창의대진소의 서울진공작전에 참여했다가 돌아온 뒤 무주 덕유산을 근거지로 영남·호남·호서 일대에서 많은 활약을 했다. 1908년 2월 28일 무주주재소를 급습, 동년 4월 장수읍 공격, 1909년 1월 지례, 4월 24일 용담, 5월 남원 등지에서 일본군을 공격했다. 나아가 충북의 영동·청산·옥천 등지에서도 유격전을 전개하였다.

성 옹은 1909년 5월 6일 전북 장수군 계북면(溪北面) 문성동(文城洞) 뒤 덕유산에 근거하고 있던 문태수의진에 합류하여 군수품을 모집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돼 같은해 10월 8일 광주지방재판소 전주지부에서 태(笞) 100도(度)를 선고 받았다. 2006년 성 옹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대통령표창을 추서했다.

하지만 이들의 훈·포장은 그 주인을 찾지 못해 창고에 먼지만 쌓이고 있다. 후손을 찾지 못해서다.

78주년 광복절을 맞았지만 나라를 위해 일제와 맞서 싸운 이들의 훈·포장이 전달되지 못하고 있다.

14일 국가보훈부에 따르면 도내 독립운동유공자로 인정돼 훈·포장을 수여받은 인물은 1122명에 달한다. 3·1운동, 의병, 학생운동, 국내외 항일운동, 임시정부 참여 등 다양하게 국가를 지키기 위해 헌신한 영웅들이다.

하지만 이중 주인에게 돌아가지 못한 인물은 399명에 달한다. 포상훈격별로 보면 애족장이 142명으로 가장 많았고, 애국장이 133명, 대통령표창 98명, 건국포장 21명, 독립장 5명 등 순이었다.

보훈부는 후손을 찾기 위해 독립기념관, 국사편찬위원회, 국가기록원, 지방자치단체, 문화원 등과 협조를 통해 객관적 자료를 토대로 역추적해오고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제적부상 본적, 주소 등이 정확히 확인되지 않거나 제적부 소실, 해외 활동자 등 사유로 후손이 확인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보훈부 관계자는 “제적부 소실과 복적·주소 등 현주소와 다른 경우가 많아 수훈자 후손을 찾는 것이 매우 어렵다”면서 “이들의 명예와 긍지를 되찾아 주고 후손들에게 이들의 공로를 알리기 위해서라도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cjk9714@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