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뉴스 댓글, 실시간 채팅으로 변신…24시간 후 창 삭제
네이버, 제한 조치 이용자 프로필에 노출…내년 총선 의식 해석도
[서울=뉴시스]최은수 기자 = 국내 양대 포털 네이버와 다음이 일제히 뉴스 댓글 서비스를 개편했다. 다음은 뉴스 댓글을 24시간이 지나면 사라지는 실시간 채팅 서비스로 바꿨고, 네이버는 악성 댓글을 달아 이용이 제한된 사실을 프로필을 통해 노출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악성 댓글 자정에 성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일각에서는 양사가 내년 총선을 앞두고 포털 뉴스 압박에 나서고 있는 정치권을 의식한 데 따른 조치라는 해석도 나온다.
카카오의 다음CIC는 전날 다음뉴스에 채팅형 댓글 서비스 ‘타임톡’ 베타 버전을 오픈했다. 기존 추천순·찬반순 정렬에서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채팅형 댓글 서비스로 변경했다. 일부 댓글이 과대 대표되거나 부적절한 댓글이 사라지지 않는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취지다.
눈에 띄는 점은 기사 발행 시점부터 24시간이 지나면 댓글창 자체가 자동으로 사라져 채팅이 불가능해지고 기존 기록들도 모두 사라진다는 것이다. 카카오 측은 “기사 발행 후 이용자들이 해당 기사를 활발히 읽는 시간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채팅창 첫 화면에 세이프봇이 작동 중임을 알려, 이용자들이 자발적으로 건전한 댓글 문화에 동참할 수 있도록 했다.
다만 다음뉴스 댓글이 개편된 첫 날 일부 이용자들은 반발했다. 이용자들은 ”원상태로 복구해달라“, ”하루 지나서 기사를 보게 될 때가 있는데 다른 사람들의 생각을 알 수가 없다“, ”댓글 없으면 다른 포털로 가겠다“ 등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댓글을 달거나 확인하기 위해 기사 상단에 타임톡 아이콘을 클릭한 뒤 ’참여하기‘ 버튼을 또 한 번 클릭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불만을 샀다.
일각에서는 24시간이 지나면 채팅방이 사라진다는 점에서 다음이 댓글 서비스를 사실상 접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일부 이용자들은 ”언론 통제“, ”여명“이라는 주장까지 제기하고 있다.
긍정적 반응도 적지 않다. 다음 뉴스 댓글 개편 기사 관련 타임톡에서는 ”정치색이 있는 비난 글로 무차별 도배 되는 현상을 접하지 않아도 돼서 좋다“, ”댓글부대들이 정치 뉴스에 댓글을 도배하지 않으니 좋은 업데이트다“ 등 의견이 나왔다.
네이버도 같은날 변경된 뉴스 댓글 운영정책을 적용했다. 운영규정에 따라 댓글 이용이 제한된 사용자의 경우 프로필에 해당 상태가 노출된다. 사용자 프로필에 이용제한 문구와 함께 ’운영 규정에 따라 댓글 이용이 제한된 상태입니다‘라고 안내되는 방식이다.
댓글 이용제한 해제 시 댓글 이용에 관한 퀴즈 풀기 등 추가적인 절차가 요구될 수 있다. 이 절차를 거치지 않으면 명시된 이용제한 기간보다 그 기간이 연장될 수 있다.
네이버와 다음이 뉴스 댓글 개편에 나선 이유는 지난 4월27일 공표돼 오는 12일부터 효력이 발생하는 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의 ‘혐오 표현 자율정책 가이드라인’을 따르기 위해서다.
가이드라인은 혐오표현에 대해 ‘인종·국가·민족·지역·나이·장애·성별·성적지향이나 종교·직업·질병 등(이하 ‘특정 속성’이라 한다)을 이유로, 특정 집단이나 그 구성원에 대하여 차별을 정당화·조장·강화하거나 폭력을 선전·선동하는 표현’으로 정의했다.
혐오표현으로 판단될 경우 삭제, 노출 제한 등의 조치를 받게 된다. 이때 작성자는 혐오표현이 아님을 소명하며 재게시를 요구하는 등 이의제기를 할 수 있다.
이처럼 네이버와 다음은 악성 댓글을 뜻하는 '악플' 등 역기능을 방지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정 댓글이 상단에 배치돼 여론을 왜곡하거나 혐오표현이 지나치게 부각된다는 비판이 지속 제기됐다.
업계 일각에서는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정치권을 의식한 행보라는 해석도 있다. 과거 더불어민주당 당원의 댓글 조작 사건(일명 드루킹 사건)이 사회적 파장을 일으킨 바 있다. 이후 국민의힘은 포털의 편향성 문제를 꾸준히 제기했고, 최근 포털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에 포털에서 여론을 왜곡해 선거에 악용하는 폐단이 재연되지 않도록 양사가 발빠르게 자정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성민 가천대 경영학부 교수는 "댓글은 오랜 기간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살펴볼 수 있는 긍정적 기능을 수행했으나 상업적·정치적으로 조작 가능성이 큰 게 사실"이라며 "악성 댓글이 소송 문제로 번지는 등 댓글 부작용으로 인한 폐해가 많고 플랫폼 사업자 입장에서 골칫거리였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포털의 댓글 자정 노력이 AI 검색 경쟁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라는 분석도 있다. 성동규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검색 서비스 자체가 생성형AI와 결합될 수밖에 없고 국내 포털과 구글, MS 등 빅테크와 경쟁에서 정확도가 높은 정보를 제공하느냐 관건이 될 것"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악성댓글도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자정 조치를 취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schoi@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