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상암동에 서울링으로 랜드마크 추진
주민들 "소각장 덮으려는 수작"…갈등 지속
11일 서울시와 마포구에 따르면 시는 서울형 대관람차 '서울링'을 상암동 하늘공원에 조성하기로 결정했다.
시는 그동안 노들섬과 하늘공원을 주요 후보지로 검토했으나, 남북 화합과 서울의 관문으로서 상징성이 있는 하늘공원을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서울도심, 남산, 북한산 자연경관 조망이 가능하고 쓰레기 매립지라는 과거와 서울이 지향하는 인류와 지구, 미래, 환경에 대한 정책적 의지를 실현할 수 있는 최적지라고 평가했다.
서울링은 영국 런던에 있는 '런던아이'를 벤치마킹한 큰 바퀴 모양의 대관람차다. 다만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바큇살이 없는 고리형태인 게 차이점이다. 높이 180m 내외로 세계 최대 규모다.
홍선기 미래공간기획관은 "하늘공원의 해발고도가 98m인 점을 감안하면 서울링은 63빌딩보다 높아 어디든 잘 보이는 랜드마크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탑승 가능한 인원은 1시간당 1474명, 1일 최대 1만1792명으로 기획했다. 홍 기획관은 "런던아이가 관광객의 15~20%가 탑승한 것으로 보아 서울링도 연간 350만 명 이상의 관광 수요가 발생해 수익성은 충분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재원 확보를 위해 100% 민간투자사업(BTO) 방식으로 진행한다. 민간에서 디자인을 포함해 사업성, 수익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사업을 제안하는 방식이다. 사업비는 약 4000억원으로 예상된다.
시는 올해 상반기 민간 제안서를 받아 공공투자관리센터 적격성 조사 등을 거쳐 2025년 6월 착공해 2027년 12월 완공을 목표로 한다.
서울링은 마포구에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지만 정작 마포주민 대다수는 시큰둥한 반응이다. 서울시가 소각장 설립에 대한 반대급부로 서울링 조성을 제시한 것 아니냐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시는 지난해 8월 '2026년 수도권 매립지 직매립 금지'에 대비해, 마포구 상암동에 하루 처리량 1000톤(t) 규모의 소각시설을 추가 설치하고 기존 750t 규모 시설은 2035년까지 철거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주민들은 '소각장 추가설치 반대 투쟁위원회'를 구성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지난해 두 차례 열린 설명회에서 고성과 몸싸움이 벌어져 제대로 진행하지 못했고, 지난 7일 개최한 공청회에도 대거 불참한 채 공청회장 밖에서 규탄 집회를 열었다.
상암동에 거주하는 한 주민은 "상암으로 미리 정해놓고 끼워 맞추기 행정을 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어떻게 소각장이 랜드마크가 될 수 있나. 이건 기피시설이다. 눈 가리고 아웅 하지 말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실현 가능성은 좀 더 지켜봐야 한다. 2000년에도 서울링과 같은 디자인의 '천년의 문'이 월드컵공원 내 추진됐으나 재정 부담과 안전 문제로 무산된 바 있다.
서울시는 서울링과 소각장은 별개 사안이라고 선을 그었다. 또 과거와 달리 현재 기술로는 서울링 조성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홍 기획관은 "자원회수시설과 서울링은 관련이 없다"면서 "장기적 관점에서 난지도 개발 잠재력이 상당하다는 판단에 따라 개발이 필요하다. 동남권에 제2롯데월드가 있듯이 서남권에도 인천에서 들어오는 관문으로서 상징성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과거에는 여러 이유로 실현이 되지 않았지만 지금은 충분히 가능하다. 대관람차를 만들었던 런던 회사도 실현 가능하다는 의견을 줬고, 우리나라 몇몇 대기업도 기술적 검토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부연했다.
관련이 없다는 서울시의 해명에도 주민들의 반발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마포구도 지난 9일 '마포구 기피시설 백서 편찬위원회' 출범식을 열고 백서를 제작하기로 했다.
마포구 관계자는 "추가 소각장이라는 또 하나의 기피시설을 떠안을지도 모를 위기에 놓였다"며 "백서를 통해 난지도, 당인리화력발전소 등 기피시설로 인한 피해와 고통을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백서 편찬위원회는 지역사정에 밝고 기피시설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이 있는 지역 토박이 13명으로 구성된 민간단체로, 연말에 백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박강수 마포구청장은 "마포에 6곳의 기피시설이 들어서기까지 그때마다 주민의 고통과 피해를 간과한 정책결정의 오점이 있는 게 사실이고, 이러한 책임행정의 문제의식과 더불어 기피시설로 인한 지역의 피해를 주민들이 정확히 알아야만 똑같은 고통을 반복하지 않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lje@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