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한일→한미→한미일 정상회담서 '대북 대응' 성과내나

기사등록 2022/11/13 14:01:21 최종수정 2022/11/13 14:54:16

尹, 北 제7차 핵실험 앞두고 한·미·일 정상 잇따라 만나

박근혜, '한미→한미일→한일→한중 회담' 하루 동안 소화

이명박, 천안함 사태 후 한·미, 한·일 정상과 잇따라 회담

[프놈펜=뉴시스] 홍효식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프놈펜 한 호텔에서 열린 아세안+3 정상회의에서 참가국 정상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팜 민 찐 베트남 총리, 기시다 일본 총리, 윤 대통령, 훈센 캄보디아 총리, 리커창 중국 총리. 2022.11.12. yes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양소리 기자 =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 정상회의를 계기로 캄보디아를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한·일, 한·미, 한·미·일 정상회담을 연이어 이어간다. 북한의 잇단 무력 도발로 고조된 한반도 긴장을 완화하는 대북 대응 성과를 낼지 주목된다. 한·일 관계 개선과 한·미·일 공조 강화도 관심사다.

한반도 문제와 관계 깊은 주요 국가들이 함께 모인 이 자리는 북한의 핵·미사일 대응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하는 큰 외교의 장이 될 전망이다. 미국·일본과의 잇따른 양자·다자 회담은 임박한 북한 제7차 핵실험에 대한 위기감을 반영한다. 이번 회담을 계기로 한·미·일 3국이 새로운 대북제재 방안을 내놓을 가능성도 있다.
【워싱턴=AP/뉴시스】박근혜 전 대통령(왼쪽)이 지난 2016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의에 참석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지켜보는 가운데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2016.04.01

한·미·일 정상이 이같은 릴레이 회담을 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6년 3월 '핵안보정상회의'가 열린 미국 워싱턴에서 한·미, 한·미·일, 한·일, 한·중 정상회담을 약 3시간 동안 연쇄적으로 소화했다.

핵심 이슈는 그때도 '북핵'이었다. 2016년은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응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강도 높은 대북 제재 결의안을 채택한 직후다.

릴레이 정상회담을 마친 후 박 대통령은 기자회견을 열고 "전례 없이 강력한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 2270호가 채택됐다"며 "이제 중요한 것은 결의를 철저히 이행함으로써 북한이 핵 포기 없이는 생존할 수 없음을 깨닫게 하는 것"이라고 강하게 압박했다.

이어 "한미일 3국은 각국의 독자 대북 제재 조치 시행을 서로 긴밀히 조율해 나가면서 국제사회가 실효적으로 대북 압박을 강화하도록 국제사회와의 연대도 더 한층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토론토(캐나다)=뉴시스】남강호 기자 = 지난 2010년 주요 20개국(G20)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캐나다를 방문한 이명박 전 대통령이 토론토의 한 호텔에서 오바마 미국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photo@newsis.com

이명박 전 대통령도 하루 동안 한·미, 한·일 정상과 잇따라 회담을 한 적이 있다. 이 전 대통령은 2010년 당시 캐나다 토론토에서 개최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미국, 일본 정상과 개별 회담을 진행했다. 천안함 피격 사건이 벌어진 후였다.

특히 당시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G20 정상회의 기자회견에서 중국을 향해 천안함 사태에 북한이 관여했다는 조사 결과를 수용할 것을 촉구했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중국이 이웃이자 동맹국인 북한에 대해 자제력을 발휘하려 하는 점을 이해한다면서도 "자제력을 발휘하는 것과 계속되는 문제들을 의도적으로 눈감는 것은 다르다"고 중국을 압박했다.

현 정부와 대북 기조가 달랐던 문재인 전 대통령의 경우 2019년 12월 중국 청두(成都)에서 열린 한·중·일 정상회의를 통해 정상들과 만났다. 문 전 대통령이 이 회담을 통해 3국이 북한의 비핵화 노력과 자유무역 촉진에 협력기로 하는 '향후 10년 공동비전'을 채택했다.

그러나 일본의 대(對)한국 수출규제 조치 등을 놓고 한·일 양국의 갈등이 이어지며 이 회담은 유명무실해졌다. 이는 문재인 정부에서 일본과의 마지막 정상회담으로 기록됐다.

[도쿄=AP/뉴시스]지난 2018년 5월9일 리커창 중국 총리와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 문재인 전 대통령이 일본 도쿄에서 3국 정상회담을 갖기 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und@newsis.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