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4→스몰4' 영화계 썸머 쇼크…"코로나 후유증 이제 시작"

기사등록 2022/08/18 05:51:00

여름 성수기 기대 모은 작품 모두 부진

손익분기점 겨우 맞추거나 실패하거나

코로나 사태 전 여름 1000만 관객 당연

코로나 후 1000만 커녕 안 망하면 다행

'범죄도시2' 1000만 코로나 후유증 가려

티켓 가격 상승 신중한 선택으로 이어져

영화계 "예전과 아예 달라" 대응은 '글쎄'


[서울=뉴시스] 손정빈 기자 = 지난 5월 영화 '범죄도시2'가 '기생충' 이후 명맥이 끊긴 한국영화 1000만 관객 시대를 딱 3년만에 다시 열었다. 이때만 해도 코로나 사태가 끝나고 한국영화 르네상스가 시작되는 분위기였다. 이와 함께 톰 크루즈의 '탑건:매버릭'이 시네마의 의미를 전 세계 관객에게 설파하는 데 성공하자 영화계는 화려한 부활만 기다리면 되는 것처럼 보였다.

이 분위기를 타고 대작 한국영화 4편이 극장가 최대 성수기인 여름방학 시즌 개봉을 잇따라 확정했다. 국내 배급사 관계자는 "어떤 영화가 될지는 알 수 없지만, 그 4편 중 1편 정도는 1000만 관객을 달성할 수 있을 거라는 게 업계의 일반적인 기대였다"고 했다. 그러나 이들 영화가 떠올린 1000만 관객의 꿈이 박살나는 데는 한 달이 채 걸리지 않았다.

◇'빅4'의 시대

실제로 코로나 사태 전만 해도 여름이 되면 사이즈가 큰 한국영화 3~4편이 개봉해 그 중 한 편 정도는 1000만명을 넘기는 게 으레 있는 일이었다. 코로나 사태 직전 3년 간 여름 성수기 영화 시장을 보면, 2017년엔 '택시운전사'(1218만명)가, 그 다음 해엔 '신과 함께-인과 연'(1227만명)이 있었다. 코로나 사태 직전인 2019년엔 1000만 영화가 없었지만, '엑시트'(942만명)가 1000만에 가까운 흥행 기록을 세웠다.

1000만 영화가 1편 나오면 그 뒤엔 '중대박급' 영화가 1~2편이 뒤따랐다. 2017년엔 '군함도'(659만명)와 '청년경찰'(565만명)이 있었고, 2018년엔 '공작'(497만명)과 '마녀'(318만명)가 뒤를 받쳤다. 2019년엔 '봉오동 전투'(478만명)가 있었다. 한국영화 '빅4'가 많게는 2500만명을 나눠갖거나 적어도 2000만명을 불러모으는 게 여름 성수기였다. 영화계 관계자는 "여름 최성수기에 개봉할 수 있는 영화에는 최소한 손익분기점을 채울 수는 있다는 낙관이 있었다"고 했다.

◇'스몰4'의 시대

하지만 사회적 거리 두기가 완전히 종료된 시점에서 처음 맞이한 극장가 여름 성수기는 코로나 사태 전과 양상이 완전히 달라져 있었다. 1000만 영화는 고사하고 손익분기점을 달성하는 것조차 쉽지 않은 판이 된 것이다.

가장 먼저 개봉한 '외계+인 1부'(손익분기점 700만명)는 152만명을 불러모으는 데 그쳤다. '비상선언'(손익분기점 500만명)은 200만명을 조금 넘기는 것 이상의 흥행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헌트'는 일주일만에 200만명을 넘기긴 했으나 손익분기점이 되는 420만명을 채우는 게 만만치 않아 보인다. '한산:용의 출현'(손익분기점 600만명)은 600만명을 넘기고 700만 관객에 도전하고 있으나 제작비가 워낙 컸던 탓에 소위 대박이 났다고 보기는 힘들다.

이 결과가 더 충격적인 건 이 작품들을 만든 게 최동훈·김한민·한재림 등 국내 최고 흥행 감독이라는 점이다. 또 이들 작품에 송강호·이병헌·전도연·이정재·정우성·김태리·류준열·박해일·김남길·김우빈 등 한국영화 슈퍼스타가 총출동했다. 16일 현재 이들 4편의 관객수 총합은 약 1200만명이다. 2018년 여름 최고 흥행작인 '신과 함께-인과 연'(1277만명)이나 2017년 여름 최고 흥행작인 '택시 운전사'(1218만명)의 관객수와 비슷하다. 앞으로 관객이 더 들더라도 4편 합계 1500만명 정도가 마지노선으로 예상된다. 국내 멀티플렉스 업체 관계자는 "빅4가 아니라 스몰4라고 해야할 상황"이라고 했다.

◇코로나 후유증과 착시 효과

영화계는 '범죄도시2'가 다소 가볍게 1000만 관객을 달성한 게 착시를 일으켰다고 판단한다. 사회적 거리 두기 해제 직후에 개봉해 보복 관람 효과가 있었다는 점, 배우 손석구가 신드롬에 가까운 인기를 누렸다는 점 등 갖가지 특수 상황이 겹쳐 만들어진 이례적인 흥행 기록을 영화판 전체의 회복 수순으로 착각했다는 지적이다.

국내 제작사 관계자는 "'범죄도시2'의 흥행이 코로나 사태 후유증에 대한 우려를 망각하게 했다"며 "'외계+인 1부'가 개봉 첫 주말 100만명을 넘기지 못 하는 걸 보고 정신이 번쩍 들더라"고 했다. 일례로 '외계+인 1부' 언론 시사회 직후 업계에선 작품에 대한 호불호가 갈릴 것을 예상하며 이 영화 흥행 성적을 500~600만명으로 예상했다. 실제 관객 움직임을 전혀 예측하지 못한 것이다.

업계는 코로나 후유증이 '범죄도시2'와 '탑건:매버릭'의 흥행에 잠시 모습을 감췄다가 이번 여름부터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고 본다. 이제부터가 본격적인 코로나 후유증이 시작될 시점이라는 것이다. 영화 홍보대행사 관계자는 "여전히 많은 관객이 웬만한 영화가 아니고서야 극장에 갈 생각이 없어 보인다"며 "이런 기조는 최소한 내년 설 연휴까지 이어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부담스러운 티켓값

일각에선 영화 티켓 가격 상승이 관객수 감소에 영향을 줬다고 보기도 한다. 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 등 국내 극장 체인은 코로나 사태 후 경영 상황이 급격히 악화하자 수차례 티켓 가격을 인상했다. 현재 평일 일반 상영관에서 영화 한 편을 보려면 1인당 1만4000원, 주말엔 1만5000원을 내야 한다. 코로나 사태 전과 비교하면 30% 가량 올랐다. 이는 온라인 스트리밍 한 달 구독료의 2~2.5배 값이다.

극장에서 영화 한 편 보는 데 드는 비용이 커지다보니 영화도 더 신중히 고르게 됐고, 온라인상에서 리뷰를 철저히 검색해보고 가는 게 자연스러워졌다는 것이다. 극장 관계자는 "코로나 사태 전에는 입소문과 무관하게 데이트를 하면서 영화를 한 편 씩 보는 게 일반적이었는데, 이제 그런 문화가 많이 사라졌다"고 했다.

◇패러다임의 전환

영화계는 연중 최대 성수기인 여름 시장이 쪼그라든 걸 목격한 뒤 영화판에 격변의 시기가 왔다고 본다. 코로나 사태를 직접 겪고 있을 때는 우선 생존에 집중했다면, 코로나 사태가 지나간 후에는 어떻게 관객을 극장에 끌어들일지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관계자들은 관객 감소는 제작 편수 감소로 이어지고, 제작하는 영화의 유형에 변화를 주고, 시나리오를 보는 눈을 높이고, 홍보·마케팅 방식도 변할시킬 거라는 게 중론이다.

영화인들이 우려하는 건 관객수 감소가 결국 영화 산업 자체를 축소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국내 투자·배급사 관계자는 "지금은 영화계 전체가 쇼크 상태다. 판이 어떻게 변하게 될지,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누구도 판단을 내리지 못 한 채 관망하는 중"이라며 "다만 확실한 건 영화계까지 예전과는 전혀 다른 상황을 맞이했다는 점"이라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b@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