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시장,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구상' 발표
2013년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 무산 이후 방치
"하이테크 기업 입주 아시아 실리콘밸리로 거듭"
용산정비창 내 주택 6000호 공급…임대주택 1250호
GTX·UAM 등 교통수단 잇는 모빌리티허브 조성
총 사업비 12조…10~15년 내 사업 마무리할 것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서울시청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용산정비창 일대 약 50만㎡에 대한 개발 청사진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구상'을 발표했다.
용산정비창 부지는 서울 한복판에 여의도공원의 2배, 서울광장의 40배에 달하는 규모로 자리한 금싸라기 땅이다. 서울에 남은 마지막 대규모 가용지이자 미래 발전엔진이 될 잠재력 높은 중심거점이지만, 지난 2013년 단군이래 최대 개발로 불렸던 용산국제업무지구 도시개발사업이 최종 무산된 이후 청사진 부재 등으로 10년째 방치돼왔다.
서울시 구상에 따르면 용산정비창 일대는 초고층 마천루 사이에 드넓은 공원과 녹지가 펼쳐지고, 글로벌 하이테크 기업이 입주하고 싶어하는 아시아의 실리콘밸리로 거듭난다.
이를 위해 시는 서울시 최초의 ‘입지규제최소구역’을 지정해서 법적 상한 용적률 1500%를 뛰어넘는 초고층 건물이 들어서도록 할 계획이다. 즉 현재 가장 높은 제2롯데월드 555m(123층)보다 더 높게 지을 수 있다는 의미다. 최대 용적률과 층수는 개발계획이 확정되는 과정에서 구체화하고, 내년 상반기쯤 민간이 사업을 진행하면서 확정된다.
오 시장은 "30평대의 민간 분양주택과 20평대의 임대주택을 적절하게 섞으면 6000가구 정도가 나온다"고 설명했다. 이어 "30% 정도는 주거고 나머지는 70%는 상업용도다. 법적으로 확보해야 하는 임대주택 비율은 25%여서 6000호 중 1250호 정도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또 6000호 중 1000호는 오피스텔로 공급되며 5000호는 순수 주거로 공급될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서울시는 대규모 중앙공원과 철도부지 선형공원 등 녹지생태공간을 곳곳에 조성해 지상부의 50% 이상을 녹지로 확보하고, 차량은 지하로 달릴 수 있도록 지하교통체계를 구축한다.
또 지하도로는 물론 미래교통수단인 미래항공교통(UAM) 등과 GTX, 지하철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연계하는 복합환승센터 개념의 1호 ‘모빌리티 허브’가 들어선다. 이를 통해 용산은 서울도심과 강남으로, 인천공항과 수도권 전역으로 연결되는 신(新) 교통거점이 된다.
서울시는 내년 상반기까지 도시개발구역 지정과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2024년 하반기 기반시설 착공, 2025년 앵커부지 착공을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새로 태어나는 용산국제업무지구(산업)를 중심으로 여의도 금융중심지(금융), 예술섬으로 변화를 준비 중인 노들섬(문화)을 삼각편대로 삼아 서울의 도시경쟁력을 견인할 매력 거점을 완성한다는 목표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24시간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융복합 국제도시' ▲시민 삶의 질을 높이는 쾌적한 생활환경의 '녹지생태도시' ▲세계로 연결되는 사통팔달의 3차원 '입체교통도시' ▲첨단 스마트기술 혁신의 전진기지 '스마트도시'로 조성된다.
서울시는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와 코레일 주도의 단계적·순차적 개발을 하기로 했다. 우선 공공이 약 5조원의 재원을 투자해 부지 조성과 인프라 구축을 선 시행한 후, 민간에 부지를 하나씩 매각해 개별적으로 개발해 하나씩 완성해가는 방식을 택했다.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사업추진을 위해 별도의 전담조직인 용산개발청(가칭) 구성도 검토하고 있다.
또 용산역에 인접한 부지는 코레일이 소유하면서 건축물을 건설하고, 완성된 건물을 임대 또는 분양하는 선도사업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어 "용산이 가진 무한한 잠재력과 기회를 극대화하고 변화된 여건과 미래 환경에 부합하는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을 추진하겠다. 최첨단 미래산업을 육성해서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고 경제를 살리겠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lje@newsis.com, hahaha@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