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새 정부에 기대하는 새 코로나19 대응

기사등록 2022/05/09 08:53:08 최종수정 2022/05/09 09:22:41

[서울=뉴시스] 안호균 기자 = 코로나19 대유행이 정점을 지나가고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국민들은 이전의 일상을 되찾아가는 모습이다. 지난 주말 많은 사람들이 마스크를 벗고 야외를 찾거나 가족들을 만나 모처럼만에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그럼에도 코로나19 확진자 규모는 눈에 띄게 줄고 있고 병상 부족이나 의료 공백에 대한 우려도 크게 낮아졌다.

이제 코로나19는 감기와 같은 풍토병으로 관리될 가능성이 커졌다. 하지만 감염에 대한 공포감이 낮아졌다고 해서 바이러스와의 싸움이 끝났다고 할 수 있을까? 코로나19가 지난 2년여간 전 국민의 삶을 바꿔놓은 감염병인 만큼 아직 국민 건강 차원에서는 많은 과제가 남아있다.

코로나19 유행 기간 동안 우리 국민의 정신적·육체적 건강 상태는 크게 악화됐다. 장기간의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외부 활동 차단과 가계의 경제적 어려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우울감 경험률은 2019년 5.5%에서 2021년 6.7%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스트레스 인지율은 25.2%에서 26.2%로 높아졌다. 특히 '2030' 세대와 여성에서 '코로나 블루'를 더 심각하게 겪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또 당뇨병, 고혈압, 비만 등 만성질환 비율도 코로나19 유행 이전보다 높아졌다. 이처럼 코로나19 유행 기간 동안 악화된 국민 건강을 관리하는 문제는 일상 회복 만큼이나 중요한 과제가 됐다.

코로나19 확진자가 전 국민의 3분의 1을 넘어서면서 후유증(롱코비드)도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국립중앙의료원의 조사 결과 코로나19 완치 1년 뒤 한 번이라도 후유증을 경험한 사람의 비율은 87%에 달한다.  후유증의 증상은 ▲호흡곤란 ▲피로 ▲브레인 포그 ▲기침 ▲가슴 통증 ▲관절통·근육통 ▲설사 ▲발열 ▲감정 기복 ▲후각·미각 저하 등 매우 다양하다. 아직 코로나19 후유증은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바이러스가 우리 몸 안에 남아 있다가 호흡기 외에도 다양한 기관에 영향을 미쳐 후유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을 뿐이다. 코로나19는 다른 호흡기질환에 비해 후유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많은 만큼 그 원인을 파악하고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는 치료법을 찾는 일이 시급해졌다.

전 국민의 90% 가량이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만큼 접종자에 대한 사후 관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 국민들이 주로 접종한 화이자와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은 모두 mRNA(메신저 리보핵산) 플랫폼을 이용해 만든 백신이다. mRNA 백신은 코로나19 유행 이후 처음 개발과 사용이 시작됐기 때문에 아직 인체에 미치는 장기 영향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다. 방역 당국이 심근염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공식 인정한 만큼 접종자에 대한 꾸준한 관찰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연구는 향후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대한 정책적 판단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10일 출범하는 윤석열 정부는 집권 후 100일 이내에 코로나19 대응체계를 전면 개편하고 과학적 근거와 빅데이터에 기반해 방역 정책을 수립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와 함께 고령층·기저질환자·영유아 등 취약계층에 대한 보호, 백신 이상반응 피해보상 확대 및 안전성에 대한 연구기능 강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앞선 의료 시스템과 IT 인프라는 우리나라가 코로나19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던 핵심 요소로 꼽힌다. 새 정부가 이같은 인프라를 보다 과학적으로 활용해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국민 건강 위험 요소를 세심하게 관리해주길 바란다.


◎공감언론 뉴시스 ahk@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