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와 공동 연구 성과
스파이크 신호 발생형 인공 수용체 이용 시스템 개발
실제 피부와 비슷하게 실시간 반응
기존의 전자 피부는 센서에 구성된 많은 수의 픽셀에서 오는 전기 신호를 하나씩 차례대로 측정한 뒤에야 감각을 느낄 수 있었다.
이에 고밀도로 픽셀을 구성할 경우 모든 감각 픽셀을 측정하는 데 시간이 걸려 자극에 바로 반응하면서 높은 공간 해상도를 갖는 전자 피부를 만들어 내기가 어려웠다.
생체의 피부 감각 수용체는 외부에서 자극이 있을 때 전압 형태의 스파이크 신호 다발을 발생하고, 뇌에서 신호 패턴을 분석해 외부 자극을 인지한다.
공동 연구팀은 이 같은 생체 피부 감각계의 신호 발생과 인지 방법에 착안해 스파이크 신호를 스스로 발생하는 인공 감각 수용체를 개발해 모든 신호가 동시에 전송되고 실시간 분석이 가능한 전자 피부를 만들었다.
생체 신호 자체에는 위치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동적인 외부 자극을 높은 해상도로 인지하기는 어렵다.
연구팀은 이 같은 생체 신호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공 스파이크 신호들을 특성화해 각 신호에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을 최초로 제시했다.
이 전자 피부는 위치·동작 추적 등의 공간 정보, 속도·동적 접촉 영역 등의 시간 정보를 분석한다. 전자 피부의 모든 인공 수용체가 한 쌍의 측정 전극만으로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기존의 전자 피부와 비교해 전극 구성이 매우 단순해졌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 연구성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Science Robotics)’ 최근 호에 게재됐다.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실지원사업과 미래뇌융합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공동교신저자인 포스텍 정운룡 교수는 “우리 몸은 전해질의 유연한 성질로 인해 안정적으로 전기 신호를 만들어낸다”며 “생체 감각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이를 전해질 재료로 구현하는 방법을 더욱 발전시켜 향후 전자 피부가 손상된 사람의 피부 감각을 되살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dr.kang@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