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 이상·치료제 투약 대상자, '집중관리군' 배정
하루 '투약 대상자→처방자→투약 대상자' 재번복
"기저질환·면역저하, 언제든 위험…집중관리 필요"
"미접종·임신부, 집중관리해야…치료제 적기 투여"
집중관리군이 60세 이상과 먹는 치료제 처방이 가능한 대상자로 변경되면서 당초 집중관리 대상에서 제외됐던 50대 기저질환자와 면역저하자도 집중관리를 받게 됐다. 그럼에도 일부 고위험군이 집중관리에서 제외되는 우려는 남아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10일부터 확진 판정을 받은 이들 중 60세 이상 고령자, 먹는 치료제 투약 대상자로 지방자치단체에서 집중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사람은 재택치료 집중관리군으로 배정된다.
이번 개편은 감염시 중증·사망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을 중점 관리하기 위해 마련됐다. 기존 바이러스나 델타 변이보다 전파력이 높지만 중증화율이 낮은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관리체계를 전환하는 것이다.
집중관리군은 이날부터 보건소에서 하루 2회 유선으로 건강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정부는 관리 의료기관을 650곳으로 확대해 20만명을 관리 가능한 수준까지 역량을 확충할 계획이다.
집중관리군으로 배정되는 먹는 치료제 투약 대상자는 50대 이상 고위험·기저질환자와 면역저하자다. 그 외 일반관리군은 정기적인 모니터링 없이 발열 등 증상이 발생하면 동네 병·의원,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를 통해 전화 상담과 처방이 가능하다.
중대본은 전날 오전 정례 브리핑을 통해 집중관리군을 '60세 이상'과 '먹는 치료제 처방자로서 지자체가 집중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자'로 정의했다.
기존 기준을 따르면 먹는 치료제 투약 대상자인 50대 기저질환자와 면역저하자도 집중관리가 가능했지만, 변경된 기준에서는 실제 투약받은 처방자만 가능해졌다.
즉, 병용 금지된 당뇨·고혈압 등 기저질환 치료제 복용으로 팍스로비드를 처방받지 못한 이들은 집중관리군에서 제외된 것이다. 팍스로비드 처방 환자가 3000여명에 불과한 점을 고려하면 집중관리받는 50대 기저질환자나 면역저하자는 소수일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먹는 치료제 처방과 관계없이 당뇨·고혈압 등 기저질환을 가볍게 앓고 있는 이들도 지자체 판단에 따라 집중관리군에서 제외될 수 있다.
최종균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재택치료반장은 "(50대에서)조절되지 않는 당뇨 등 위험 질환을 가진 기저질환자는 기초역학조사 후 환자 분류를 거쳐 대부분 병원이나 생활치료센터로 가게 된다"며 "그 외 고혈압·당뇨 약을 먹고 다른 분들처럼 일상생활을 하시는 분들은 굳이 집중관리군으로 포함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설명에도 50대 기저질환자와 면역저하자가 온전히 집중관리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논란은 쉽게 가시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스스로 관리가 가능한 기저질환자라 하더라도 감염 후 언제든 증상이 악화할 수 있어 집중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임신부, 항암치료 환자, 미접종자 등 감염시 증상이 악화할 수 있는 다른 고위험군도 제외됐다는 지적도 나왔다.
천은미 이화여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당뇨 등 기저질환이 있어도 일상생활을 잘하던 젊은 층 환자도 감염 이후 증상이 악화해 2개월을 꼬박 입원 치료했다"며 "기저질환자는 연령에 상관없이 적기에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논란이 이어지자 정부는 현장 의견을 참고해 전날 밤 11시께 집중관리군 기준을 '먹는 치료제 투약 대상자로 지자체가 집중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자'로 고쳐 재안내했다. 불과 시행일 도래 1시간 전에 허겁지겁 다시 바꾼 것이다.
대상자 범위가 확대됐지만, 지자체 판단에 따라 집중관리군에서 제외되는 50대 기저질환자 또는 면역저하자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다.
전문가들은 ▲60세 이상 고령층 ▲연령 무관 기저질환자 및 항암치료 환자 ▲미접종자 ▲임신부 등을 집중관리군으로 배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고혈압, 당뇨 환자는 일반인보다 중증·사망 위험이 4~5배 높다"며 "임신부, 미접종자, 기저질환이 없어도 호흡곤란이나 의식저하 등 중증 임상 소견을 보이는 환자도 집중관리군에 포함되지 않았다. 증상 진찰과 치료제 처방 시기를 놓치면 중증 악화 가능성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가급적 모든 동네 병·의원들이 일반관리군 전화 상담·처방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할 계획이다. 확진자가 평소에 다니는 병·의원에 연락하면 상담·처방이 가능토록 한다는 방침이다.
일반관리군 대상 전화 상담과 처방이 가능한 동네 병·의원 명단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 홈페이지에 게시될 예정이다. 정부는 이달 중 병·의원별로 검사와 상담, 재택치료 관리와 진료까지 가능한지 별도로 표기해 안내할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jungsw@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