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두기 효과 감소 시 내년 1월 하루 8400명 확진
최대 1만명 확진 가능…"추가 발생 대비 병상 확보"
12월말 2255개 병상 확보…1월말까지 6944개 추가
'범정부 TF' 구성…청와대·정부·병원 관계자 등 참여
"병상·인력 확충에 일반 진료 차질 빚어질 수 있어"
정부는 예측보다 많은 확진자 1만명 발생에 대비해 다음 달까지 코로나19 중증·준중증·중등증 병상 7000여개를 추가로 확보한다. 이달 말까지 행정명령 등으로 확보하는 2250여개 병상을 더해 9200여개 병상을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2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례 브리핑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일상회복 위기극복을 위한 추가병상 확충 및 운영계획'을 발표했다.
지난달 단계적 일상회복 이후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가 늘어나면서 유행 상황이 악화하고 있다. 특히 중환자 병상 가동률이 11월1일 45.9%에서 지난 20일 80.7%로 늘어나고, 같은 기간 입원 대기 환자는 420명으로 증가했다.
이에 정부는 유행 규모를 줄이기 위해 영업시간·사적모임 인원 제한,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 확대 등을 시행 중이다. 또 의료기관 병상 확보 행정명령 등을 통해 이달 말까지 코로나19 전담병상 4667개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그러나 유행 상황은 계속 나빠질 가능성이 있다.
질병관리청 추계에 따르면 지난 2주간 거리두기 효과가 유지되면 이달 말 하루 최대 8000명, 내년 1월 말 4700명의 확진자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거리두기 효과가 감소하면 내년 1월 말 최대 8400명의 환자가 발생할 수 있다.
우선 앞서 내려진 행정명령을 통해 중증 158개, 준중증 189개, 중등증 1726개 등 2073개 병상을 신속하게 확보한다.
여기에 더해 상급종합병원과 국립대병원을 대상으로 추가 행정명령을 내려 622개 병상(중증 414개, 준중증 208개)을 확보한다.
국립중앙의료원, 서울의료원, 보훈병원(1곳), 산재병원(1곳) 등 일부 공공병원은 병상 전부를 소개(疏開·비워 둠)해 499개 병상(중증 9개, 준중증 490개)을 확보한다. 즉, 공공병원들은 비(非) 코로나19 환자를 다른 곳으로 옮긴 뒤 코로나19 환자 치료에만 집중하게 된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환자 소개는 2~3주 정도 걸릴 것"이라며 "전원 과정에서 복지부를 비롯해 각 부처가 협조하면서 원활한 전원 과정을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감염병 전담 요양병원 650개, 감염병 전담 정신병원 100개 등 중등증 환자를 위한 특수 병상도 확충한다.
거점 전담병원을 추가로 확충해 중증·준중증 각 300개, 중등증 2400개 등 3000개 병상을 확보한다. 일부 병상은 투석·분만 등에 필요한 특수병상으로 확보해 즉시 치료가 필요한 임산부, 고위험 환자를 입원토록 한다.
생활치료센터는 대학교 기숙사 3곳, 공공기관 연수원 등 3곳을 활용해 2412개 병상을 마련한다. 신규 생활치료센터 2곳과 기존 생활치료센터 3곳을 거점 생활치료센터로 지정해 진료 역량도 강화한다.
이스란 중수본 환자병상관리반장은 "거리두기가 바뀌고 환자 수 증가에 따라 병상 수요도 바뀌기 때문에 내부적으로는 (1만명 발생 예측보다) 더 많은 확진자가 발생하면 어떻게 할지 시나리오를 가지고 있다"며 "확진자 추이를 보고 시행할 때라는 판단이 들면 즉각 시행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병상 확보와 의료인력 충원은 유영민 청와대 비서실장을 팀장으로 한 범부처 전담 조직(TF)이 관리한다. TF에는 보건복지부, 행정안전부, 교육부 등 관계부처 장관급 공무원, 대한병원협회장 등 병원계 인사들이 참여한다. 이는 지난 19일 문재인 대통령의 병상 확충 관련 특별지시에 따른 후속조처다.
손 반장은 "TF는 병상 확충 상황과 애로사항을 점검하고 해결한다"며 "TF 외에도 복지부 장관을 중심으로 이행 상황을 점검하는 현장점검단을 구성한다. 지역별 현장반에서 의료기관과 실시간으로 소통하고 애로사항을 해결할 것"이라고 말했다.
손 반장은 "국립대병원 등 상급종합병원 진료는 선택적인 수술 영역 같은 경우 축소가 불가피하다는 게 의료현장의 의견이다. 외래진료실 일정도 줄어들거나 일부 조절이 있을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면서도 "의료기관 환자 특성과 진료 시급성을 고려해 자체적으로 조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공병원의 코로나19 치료 집중에 따른 우려에 대해선 "일부 일반 진료상의 차질이 생기는 점은 불가피할 것"이라면서도 "코로나19에 집중하면서도 취약계층을 위한 진료는 계속 유지하는 방향으로 검토해 진료 차질을 최소화하는 쪽으로 조정할 것"이라고 답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ungsw@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