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1년부터 대국민 서비스 본격화
문화재 분야에 있어서 중요한 의사 결정 방식이나 대국민 서비스에 과학적 자료와 지능정보기술 접목이 이 계획의 취지다.
디지털 일상화로 국민이 문화재를 즐기고 문화재에 관한 정보나 데이터를 소비하는 방식은 변했지만 문화재 보존·관리·활용 등 의사결정이 문화재위원 등 소수 전문가의 경험, 직관에 의해 판단되는 경우가 많아 국민 눈높이에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문화재청은 문화재 디지털 대전환 계획의 목표를 '디지털로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문화유산'로 정하고 올해부터 2030년까지 4개 전략으로 17개 정책과제, 59개 세부과제를 추진하기로 했다.
4개 전략은 일하는 방식의 디지털 전환, 대국민 서비스의 디지털 전환, 데이터 축적과 관리방식의 전환, 디지털 대전환 생태계 강화다.
이를 통해 문화재 보존, 관리, 활용 전반에 관한 자료를 디지털 대전환을 위한 자원으로 활용하고, 구축한 데이터는 웹툰, 게임 등 문화산업 원천자료로 활용하도록 개방한다.
무형문화재 전승지원 통합플랫폼 구축, 문화재 수리기록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문화재 안전을 위한 방재 드론 스테이션 구축을 추진한다.
둘째는 대국민 서비스의 디지털 전환으로 데이터와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문화재 정보 서비스 개선이다.
방문자 눈높이와 상황을 인공지능(AI)이 자동으로 인식해 맞춤형으로 안내하는 문화재 안내봇(가칭 Dr. Heri-닥터 헤리)을 개발해 로봇 해설사, AI 스피커, 디지털 안내판에 접목한다.
셋째로는 데이터 축적과 관리방식 전환이다. 이를 위해 국가귀속 출토유물 목록 자료화, 해양문화재와 수중매장문화재의 디지털 자료화, 국외소재문화재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을 추진하고 세계유산 자료와 정보체계도 구축한다.
역사도시 속 문화재와 인물, 사건을 상공간에서 디지털로 복원해 간접 경험하는 ‘메타버스 타임머신’ 서비스도 구축할 계획이다.
현재 역사도시로 지정된 한양도성, 경주, 개성, 공주, 부여, 익산에는 이 서비스가 2022년까지 구축된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대전환 생태계 환경 강화 전략이다. 문화재 디지털 대전환 경험을 세계와 공유하여 문화재를 통한 정보통신기술(ICT) 강국의 위상을 강화하고, 문화재 현장에 데이터와 디지털 기술에 능숙한 인력을 양성·배치해 새로운 일자리를 늘린다.
디지털 취약계층인 노인, 어린이, 장애인, 이주외국인에게 차별 없는 문화재 디지털 향유 서비스도 제공한다.
문화재청은 올해를 시작으로 2022~2025년은 분야별 데이터를 축적, 가공, 통합하여 문화재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단계로, 2026~2030년은 분야별 AI 업무와 서비스를 실제 업무에 적용하고 빅데이터 분석 역량을 강화하는 시기로 잡았다. 2031년부터 대국민 서비스를 본격화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suejeeq@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