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1000조 시대…영끌, 빚투 지속
코로나19로 소득 감소 등 생계형 대출↑
"기준금리 인상 전에 필요 이상 빚 상환"
"변동금리 대신 고정금리 대출 갈아타야"
15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1024조1000억원으로 전월 1025조7000억원 대비 1조6000억원 감소했다. 2014년 1월 이후 7년 4개월 만에 주춤했지만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 공모주 청약증거금 반환 등 일시적인 요인을 감안하면 감소세에 접어들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한은이 지난 11일 발표한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서도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이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꼽혔다. 한은이 지난달 10~25일 국내외 금융기관 임직원, 금융업권별 협회 등 82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로 단순 응답비중 기준 가계부채가 46%로 가장 많이 지목됐다.
코로나19로 인한 유동성 공급이 단기적으로 금융 안정에 기여했지만 기업·가계·정부 등 부채가 크게 증가한 만큼 중기적 시계에서 금융시스템 내 잠재 리스크가 커졌다는 게 전문가 중론이다.
지원조치 종료 이후 기업·가계의 신용위험 현재화 가능성 존재, 미 연준 등 통화정책 완화기조 축소 논의 확대시 높은 가계부채 수준이 금융시스템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금리가 인상되면 늘어나는 이자 부담으로 가처분 소득이 줄어들고, 소비 부담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자산을 파는 이들이 증가하거나 자산 가격 하락 압력으로 작용하는 수순으로 예상된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해 늦가을이나 초겨울께 인상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보다 앞서) 꼭 필요하지 않은 부채는 줄이는 게 좋겠고, 생계대출이라면 변동금리보다는 고정금리로 갈아타는 게 나을 것 같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장기간 대출을 받아야 하는 분들이라면 빌린 돈이 어디에 쓰이고 있는지, 특히 어떤 자산에 투자돼 있는지 잘 따져봐야 한다"며 "얼마동안 빌려야 하고 자산가격이 어떻게 될 것 같은지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서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낙관론도 있다. 허문종 우리금융경영연구소 팀장은 "저희는 연말까지 기준금리가 동결된다고 보고 있다"며 "다만 물가든 고용이든 지표가 예상한 수준보다 훨씬 좋아서 이 분위기가 지속된다면 4분기 한 차례 정도는 (인상을) 배제할 수 없다고 의견을 모으고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허 팀장은 또 "한은이 실물경제 회복세를 저해할 정도로 그렇게 급격하게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라고 보지 않고, 내년에 추가로 두세차례 올릴 수 있다고 하더라도 예전 금리 수준에 비하면 낮기 때문에 충격이 그리 크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며 "주택담보인정비율(LTV) 등 안전장치가 있고 차주 구성을 보더라도 마찬가지 의견"이라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silverline@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