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감리자 없고 승강장도 안전 무방비… 안전관리 도마
하지만, 철거 사고현장에 감리자가 없었고 공사현장 인근 버스승강장이 사고 위험에 노출됐는데도 관리대책이 없었던 점 등으로 인해 `사후약방문'격 점검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행정당국은 특히 지난 4월 동구 주택붕괴 사고이후 재발 방지책을 강조했지만, 2개월만에 또다시 대형참사가 발생해 헛구호가 됐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 시장은 10일 광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앞으로 재개발, 재건축 건설현장에 대한 대대적인 점검을 시가 직접 나서서 허가관청과 함께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이날 "지난 4월4일 동구 계림동 주택 붕괴 사고 이후 시는 건설현장을 철저하게 관리·감독하도록 4차례에 걸쳐 공문으로 지시했음에도 이런 사고가 발생하게 돼 참으로 안타깝다"며 대대적인 현장 점검의 의지를 드러냈다.
이날 현재 광주지역 민간주도의 재개발(33곳), 재건축사업(13곳)지구는 모두 46곳으로 17명의 사상자를 낸 광주 동구 학동 4구역 주택재개발지구도 포함된다.
자치구별로는 재개발의 경우 동구 14곳, 서구 3곳, 남구 2곳, 북구 10곳, 광산구 4곳 등 33곳이며, 재건축은 서구 4건, 남구 7건, 북구·광산구 각각 1건 등이다. 현재 공사가 진행중인 곳은 9곳으로 동구와 북구에 재개발과 재건축이 집중돼 있다.
재개발 33곳 중 8곳이 준공됐고 8곳이 착공했으며 추진위 구성 6곳, 조합설립 4곳, 사업시행인가 2곳 등 아직 착공을 앞둔 곳도 상당하다.
재건축 13곳 중 준공 3곳, 착공 1곳 등 4곳이며 안전진단 1곳, 조합설립 1곳, 관리처분계획인가 1곳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번 학동 철거 현장 참사도 인재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이번 광주시의 대대적 현장 점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용섭 광주시장 조차도 이날 " 이번 사고 원인은 합동조사단의 조사에서 밝혀지겠지만 절대 일어나서는 안될 인재였다"면서 "이런 일이 두 번 다시 재발하지 않도록 국토교통부, 경찰청 등과 함께 철저하게 사고원인을 조사해 엄정하게 조치하고 책임도 물을 것이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번 대형 참사 사고 현장에는 감리자가 없어 사고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감리자는 사업자와 시행자 사이의 중립적 위치에서 기술지도를 하는 현장 관리감독자로 부실공사와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필수인력이지만, 이번 사고 당시에는 현장에 있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된 것이다.
또 재개발 사업과 위탁 철거공사를 진행해온 시공사, 시행사 측도 사고가 난 버스 승강장 이설에는 별 관심을 보이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날 출근시간 러시아워 때까지도 임시 버스정류장은 설치되지 않아 시민들의 불편을 겪었으며 뒤늦게 행정 당국은 임시승강장을 설치하는 등 허술한 안전관리가 도마위에 오르고 있다.
지역 관가의 한 관계자는 "지난 4월4일 동구 계림동 주택 붕괴 사고 이후에도 행정당국은 건설현장 관리감독을 철저히 하겠다고 밝혔지만, 2개월만에 대형참사가 났다"면서 "이번 재개발,재건축 현장 점검도 사후약방문 성격이 짙다"고 지적했다.
한편 지난 9일 오후 4시22분께 광주 동구 학동4구역 재개발사업 근린생활시설 철거 현장에서 5층 건물이 무너지면서 시내버스와 인도, 편도 4차선 도로를 덮쳤다. 이 사고로 버스에 타고 있던 17명 중 고교생 등 9명이 숨졌고, 8명이 크게 다쳐 병원 치료를 받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praxis@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