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 위탁생산 시작으로 mRNA 임상 협력
정부 "mRNA 백신 원천기술 조속히 확보에 도움"
업계 "구속력 없는 MOU 넘어 빠르게 기술이전으로 확대해야"
앞서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모더나와 22일(미국 현지시간) mRNA 백신 연구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및 변이주에 대한 mRNA 백신을 비롯해 잠재적으로 국내에서 의료 수요가 높은 감염병 관련 비임상 및 임상 연구를 협력하기로 했다. 향후 국내에서 필요한 백신 연구를 모더나와 구체적으로 협의해 세부적인 연구 협력 주제를 결정할 예정이다.
또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와 미국 국립보건원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는 한미정상회담에 맞춰 지난 18일 백신·치료제 연구협력을 위한 협력의향 서신을 교환했다. 양 기관은 코로나19 등 신종 감염병에 대한 백신·치료제 연구를 우선 추진하고 결핵 백신 등도 공동 연구한다.
국립보건연구원 권준욱 원장은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모더나와 협력을 한층 강화해 국립보건연구원이 국내 mRNA 백신 연구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주목받는 것은 이번 협력이 한국의 mRNA 원천기술 확보의 기회가 될지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위탁생산을 맡은 부분은 모더나 mRNA 백신의 완제 생산이다. 원액을 받아 바이알(병)에 무균상태로 충전한 후 라벨링·포장하는 ‘Fill and Finish’ 위탁생산을 맡았다. 현재 모더나 코로나19 백신의 원액 생산은 스위스 론자에서 맡고 있다.
삼성의 완제 위탁생산을 시작으로, mRNA 백신의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작업이 빠르게 진행돼야 한다고 업계는 입을 모으고 있다. 실제로 제약업계가 나서 mRNA 기술을 보유한 10여개 바이오 업체 컨소시엄 구성을 추진 중이다. mRNA 자체 개발과 생산을 통해 장기적으로 세계 백신 공급의 ‘아시아 허브’로 부상하기 위함이다. mRNA 기술은 향후 신종 감염병, 암 등 다른 질환 치료에도 활용될 가능성이 높아 꼭 개발해야 할 영역으로 떠올랐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정상회담 기간 동안 연구 협력 기반을 닦은 건 절호의 기회다”며 “mRNA 백신 생산시설을 한국에서 갖고 있고 동남아 등 아시아의 허브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번 기회에 mRNA 기초 지식 관련 기술이전을 받는 방향으로 협력 방안을 빠르게 확대해야 한다. 구속력 없는 MOU에서 그치지 않고 단기간에 mRNA 기술 축적을 이루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도태 보건복지부 2차관은 23일 '한미 백신협력' 브리핑에서 “이번 MOU로 모더나의 뛰어난 mRNA 기술과 국립보건연구원의 우수한 연구 인프라를 활용해 협력강화 기반을 구축했다”며 “국내에 mRNA 백신 원천기술을 조속히 확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고 기대했다.
이어 “국내 여러 기업들이 mRNA 기반 기술을 활용해서 백신 개발을 추진 중이다”며 “정부에서도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서 mRNA 백신 전문위원회를 구성해서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도근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백신연구과장은 “한국의 국립감염연구소와 미국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 협력의향 서신은 mRNA 플랫폼 기술을 갖고 있는 미국의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와 연구 협력을 통해 한국에서도 자체 기술력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고 기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ngyj@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