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최대 유연성', 트럼프 '최대 압박'과 대조…"대북 외교 신호"

기사등록 2021/05/21 10:58:04

"여러 선택지 열어 놔…현명한 전략"

"남북·미일 만족할 조정된 용어"

[서울=뉴시스]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서울=뉴시스] 신정원 기자 = 미국 고위 당국자가 대북 정책과 관련해 밝힌 "최대 유연성" 발언은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의 '최대 압박'과 대조된다는 평가가 나왔다. 북한에 적대 정책 뿐만이 아닌 여러 선택지를 열어 놓고 있다는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것이란 분석도 제기됐다.

익명의 미 고위 당국자는 지난 19일(현지시간) 한미 정상회담과 관련한 전화 브리핑에서 조 바이든 미 행정부의 대북 정책에서 한반도 비핵화 과정이 쉽지 않을 것이란 점을 이해하면서 '최대 유연성'(maximum flexibility)을 부여하는 것이 목표라고 발언했다.

이와 관련 미 전문가들은 다양한 해석을 내놓고 있다.

토머스 컨트리맨 전 국무부 국제안보·비확산담당 차관보는 20일 미국의소리(VOA)와의 인터뷰에서 "비핵화라는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한 가지 이상의 방식을 추구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 것으로 보인다"며 "현명한 접근법"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이것은 트럼프 전 행정부의 '최대 압박'과 대조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과거 대북 정책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면서 무엇이 효과가 있었는지 없었는지를 판단했다는 것을 반증한다는 것이다.

그는 "(바이든 행정부는) 과거 대북 협상에서 통했던 것과 통하지 않았던 것을 종합적으로 검토했고, 따라서 트럼프식 접근법의 실패와 제한적인 성공에서 교훈을 얻으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에번스 리비어 전 국무부 동아태담당 수석부차관보 역시 '최대 압박'에서 '최대 유연성'으로 용어가 바뀌었다는 점을 주목했다.

그는 "이 용어는 여러 이해 관계자들에게 어필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며 남북한과 일본, 그리고 미국 국민에 이르기까지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세밀하게 조정한 것으로 판단했다.

동시에 향후 대북 정책을 펼쳐 나가면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선택지를 최대한 넓혀 놓은 것으로 풀이했다.

주한미국 부대사를 역임한 마크 토콜라 한미경제연구소 부소장은 이 용어는 바이든 행정부의 '세밀하게 조정된 실용적인 접근법'과 비슷해 보인다면서 북한과의 대화에 열려 있음을 시사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그는 "이것은 압박보다는 유연성과 개방성을 보여준다"며 "바이든 행정부가 북한에 외교를 할 준비가 돼 있다는 신호를 보낸다"고 분석했다.

스콧 스나이더 미 외교협회(CFR) 선임연구원도 "비핵화를 추구하는 해법에 적대적인 정책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리려 한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게리 세이모어 전 백악관 대량살상무기 조정관은 이 용어에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으면서도 "어떤 하나의 계획으로 제한하지 않고 여러 가지 옵션을 모색할 준비가 돼 있음을 알리려는 의도"라고 풀이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wshin@newsis.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