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세 미국 최고령 대통령으로 당선된 바이든은 47년 정치경력을 가진 워싱턴의 고인 물이었다. 미국인 뚜렷한 특징이 두드러지지 않는 무색무취한 그를 대통령으로 지지하는 이유는 단순했다. '그는 트럼프가 아니다(He’s not President Trump)'였다.
트럼프가 오바마 정부에 대한 역진 정치를 펼치며 수많은 부작용을 낳았듯이 바이든도 트럼프에 반하는 정치만을 추구한다면 더 혼선을 초래할 수 있다.
최악의 파당 정치로 인한 국민 분열, 전례 없는 팬데믹의 장기화와 급증한 재정적자 등 총체적 위기 속에서 바이든을 위시한 미국의 진보세력은 무엇을 꿈꾸고 있는지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매일경제신문사 국제부 기자 15명은 세계 최강의 패권국가인 미국의 리더십 변화가 초래할 후폭풍과 ‘바이드노믹스(Bidenomics)’로 지칭되는 경제정책이 글로벌 경제에 미칠 영향을 분석했다.
미국 경제는 코로나19로 인해 엄청난 위기를 맞았다. 회복탄력성을 잃어가고 있던 미국 경제의 회복은 코로나 2차 대유행 더욱 요원해보인다. 게다가 이 타격은 2021년까지 제대로 회복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타격은 분명 금융위기로 초래된 것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시장의 신용 경색 등으로 말미암아 점차 경제위기의 형태로 모습을 바꿔가고 있다. 여기에 실업자 양산과 재정적자의 급증 등 다양한 위기요인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바이든은 대공황을 극복했던 루스벨트식 경기부양책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일단 코로나 대응에서부터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 감염병 진화에 나서는 것은 물론 경제정책 분야에서도 그린뉴딜 정책으로 과감한 정부지출을 통한 위기 탈출을 꾀하고 있다.
저자들은 이렇게 미국 정부가 돈 풀기에 나서려면 연방준비제도의 협조가 절대적인데, 월가에서 좋은 평판을 받고 있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연임해 2023년까지 제로금리 정책을 지속적으로 펼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이러한 대규모 경부양책과 그린 뉴딜, 제로금리 정책의 지속은 글로벌 경제에도 훈풍을 불어넣을 것으로 예상했다. 248쪽, 매일경제신문사, 1만6000원.
◎공감언론 뉴시스 suejeeq@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