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O2O 시장 현황 첫 발표…기업 555개·거래액 97조

기사등록 2020/02/04 12:00:00

과기부, 지난해 기준으로 집계

매출 3조원·종사자수 54만명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서울=뉴시스] 이진영 기자 =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는 O2O 서비스 시장 현황 통계가 처음으로 공개됐다. 지난해 기준으로 국내 O2O 서비스 기업은 555개, 거래액 97조원, 매출액 3조원, 종사자수 54만명으로 집계됐다. 

O2O 서비스는 휴대폰 앱 등을 통해 음식 주문, 택시·렌터카 호출, 숙박·레저 예약, 부동산 계약, 가사도우미 요청 등을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공급자와 이용자를 매칭해주는 서비스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 10월부터 두 달간 인터넷·스타트업 협단체 회원사, 앱 스토어, 기업정보 종합포털 등 약 3000여개 기업을 분석해 국내 O2O 서비스 시장 현황을 이같이 파악했다고 4일 발표했다. 국내 전체 O2O 서비스 시장에 현황에 대한 집계 결과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사결과 국내 O2O 서비스 기업은 총 555개이며 이중 생활서비스 분야의 기업수가 179개로 가장 많았다. 이어 모빌리티·물류(121개), 인력중개(100개), 숙박․레저(65개), 식품․음식(47개), 부동산(43개) 차례다.

O2O 서비스 기업으로 분류한 기준은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서비스, 공급자-이용자 간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 매칭, 비즈니스 거래 비용 발생, 중개 대상이 오프라인 서비스일 것 등 4가지다.

이들 O2O 서비스 기업 매출은 약 2조9000억원으로, 전년(약 2조2700억원) 대비 30.4%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분야별 매출은 식품·음식 분야가 28.4%로 가장 높았다. 이어 모빌리티·물류(22.5%), 생활서비스(17.4%), 인력중개(14.4%), 숙박·레저(11.5%), 부동산(5.8%) 등 순이다.

김광의 과기부 연구관은 "O2O 기업의 매출 발생 형태는 수수료, 광고료, 이용료, 판매매출, 정기사용료, 가입비 등이 있었다"며 "대부분 기업은 수수료, 광고매출 등 2가지 이상의 수익 모델을 가지고 있었다"라고 말했다.

지난해 O2O 서비스를 통한 거래액은 97조원으로 전년(약 79조3000억원) 대비 22.3%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서비스별 매출은 부동산 분야가 35조원(35.8%)으로 가장 높았으며, 모빌리티·물류(29.0%), 식품·음식(19.5%), 생활서비스(12.1%), 숙박·레저(2%), 인력중개(0.5%) 순이다.

같은 기간 O2O 서비스 종사자는 53만7000명이며, O2O 플랫폼에 서비스를 공급하는 업체는 약 34만2000개로 추정됐다.

플랫폼 노동자로 분류되는 외부 서비스 인력은 약 52만1000명으로 전체 인력의 97%를 차지했다. 내부 고용 인력은 약 1만6000명(3%)으로 대부분의 인력을 외부에서 조달했다.

김광의 연구관은 "국내에서는 O2O 서비스가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출시됐고, 현재는 우리 생활 전 영역에서 다양하게 서비스되고 있다"며 "최근에는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신기술과 접목해 소비자 편의성을 더욱 높이면서 플랫폼 경제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 가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박윤규 과기부 정보통신정책관은 "이번 국내 O2O 서비스 시장현황 파악은 지난해 시범조사를 넘어서 전체 시장 현황을 체계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라며 "관련 시장 동향 파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O2O 혁신 산업의 성장을 촉진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mint@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