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시간 가까운 마라톤 논의 끝에 '전격 철회' 결정
강행론 속 '교육청과의 대화 창구 약속'에 급선회
학습권 침해, 학부모 불편, 비판 여론 등 '큰 부담'
한유총 광주지부는 3일 "학생들의 학습권 침해와 학부모들의 보육불편을 없애기 위해 무기한 입학 연기 방침을 전면 철회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광주지회는 그러면서 "교육청과 한유총 광주지회 간에 대화를 통해 갈등을 풀어가자는데 일정 정도 공감대가 형성됨에 따라 입학 연기 방침을 접고 정상 운영키로 최종 결정했다"고 강조했다.
한유총이 무기한 집단휴업 카드를 꺼낸 이후 공식 철회 방침이 나오기는 광주가 전국에서 처음이다.
광주지회는 전날 회원 유치원들을 대상으로 한 긴급 총회 결과 압도적인 표차로 개학 연기 찬성론이 높자 이날 오후 2시부터 비상임원회의를 열고 8시간 가까이 향후 대책 등에 대해 마라톤 논의를 거친 결과 이같이 결정했다.
전날 107개 유치원(위임 9곳 포함) 중 찬성 102표, 반대 5표로 무려 95%가 개학 연기 강행을 찬성했던 분위기가 정상 운영으로 180도 급선회한 것은 교육청과의 대화 채널이 열린 게 결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광주지회 한 임원은 "밤 9시께 유아교육 발전과 현장에 대한 이해에 관한 교육당국의 상호 협력 의지를 확인한 뒤 내부 논의 끝에 입학 연기 방침 철회를 확정했다"고 밝혔다.
'유치원 3법(이른바 박용진 3법)'과 에듀파인 의무 도입 등에 반발한 개학 연기 방침에는 원칙적으로 동의하면서도 학부모 불편과 학습권 침해, 이로 인한 원생 이탈과 경영난 가중에 대한 부담감, 형사고발과 감사를 앞세운 교육당국의 무관용 정책, 시민단체와 교사단체, 정치권의 잇단 철회 요구도 심리적 압박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무응답 유치원의 수가 당초 67곳에서 40여 곳으로 급격히 줄어들고, 대형 유치원과 소형 유치원 간 이견이 팽팽했던 점도 집단휴업의 동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지 않았겠느냐는 해석도 나온다.
이에 따라 당초 개학 연기를 강행하거나 입학식 진행 여부를 묻는 교육청 질의에 응답하지 않았던 유치원 모두 원생 재배치나 돌봄 거부 없이 정상 운영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오후 9시 현재 광주에서는 개학연기 1곳, 무응답 44곳 등 모두 45개 유치원의 정상 운영이 불투명한 상태였다.
시교육청 고위 관계자는 "한유총의 지속적인 대화 요구가 있었고, 대신 교육청이 내건 조건을 받아들이는 전제 아래 소통 창구를 열기로 했다"며 "어떤 식으로든 보육 대란을 피할 수 있게 돼 다행"이라고 밝혔다.
한편 광주지역 사립유치원은 원아 200명 이상 대형 유치원 24곳을 비롯해 모두 159개로 이 가운데 90% 이상이 한유총 소속으로 추산되고 있다. 취원아동수는 정원 기준으로 2만2162명에 이른다.
goodchang@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