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특사단 9월5일 파견...평양 정상회담 18~20일 유력 관측

기사등록 2018/08/31 19:44:51

특사단, 5일 출발해 7~8일 돌아올 듯

제1·2차 평양 회담 화~목요일 진행

【성남=뉴시스】전신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31일 오후 경기 성남 분당구 스타트업 캠퍼스에서 열린 데이터경제 활성화 규제혁신 현장방문 행사를 마친 뒤 행사장을 떠나며 시민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2018.08.31. photo1006@newsis.com
【서울=뉴시스】홍지은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다음 달 5일 평양에 대북특사를 파견키로 하면서 9월 예정된 평양 남북 정상회담의 개최 시기에 시선이 쏠린다. 북한의 정권수립 70주년 기념행사인 9·9절과 다음 달 말일, 정상 기조연설이 예정된 유엔 총회 일정을 감안한다면 사실상 중순인 18~20일이 되지 않겠느냐는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31일 춘추관 브리핑을 통해 "문 대통령은 다음 달 5일 특별사절단을 평양에 보내기로 했다"며 "오늘 오전 10시30분께 북측에 전통문을 보내 문 대통령의 특사를 파견하겠다고 제안했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대북특사는 남북 정상회담의 구체적인 개최 일정과 남북관계 발전,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 정착 등을 폭넓게 협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방북으로 평양 정상회담의 일정과 의제가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방북단은 빠르면 오는 7일 혹은 늦어도 8일에 일정을 마무리 할 가능성이 크다. 지난 1차 남북 정상회담을 이끈 대북 특사단이 1박2일 간 방북 일정을 소화했던 점을 감안한다면 이번 역시 5일에 출발해 7일께 돌아올 것이란 관측이다. 또 북한이 9·9절 행사도 앞두고 있기에 늦어도 8일에는 돌아올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김 대변인은 "5일 날 (북한에) 들어가는데 9일까지 있기에는 조금 멀지 않는가"라며 적어도 9·9절 전에는 돌아올 것임을 시사했다. 

 특사단이 돌아온 뒤 그 다음 주인 셋째 주에 바로 평양 정상회담을 열기에는 물리적으로 쉽지 않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4·27 남북 정상회담 당시 의제 설정, 보도, 경호 문제 등에 대해 최소 준비시간만 한 달여가 소요된 바 있다. 지난 회담 준비 경험을 바탕으로 압축적으로 이번 회담을 준비한다고 해도 최소 일주일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게 청와대 안팎의 평가다.

 게다가 대북특사단이 성과물을 갖고 돌아올 경우,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 방북 결과를 미국과 공유할 시간도 필요하다. 혹은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방북 재추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때문에 한미가 방북 결과를 고민하는 시간까지 감안한다면 셋째 주는 어렵다는 데 힘이 실린다.

 상황을 종합해보면 평양 정상회담 개최 시기는 넷째 주로 모아진다. 특히 마지막 주엔 주요 정상의 유엔총회 기조연설이 예정됐기에 그 전에 남북 정상이 만나 결과물을 도출해야만 한다.

 일부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이 이번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설득해 유엔총회까지 동행하는 시나리오도 제기된다. 나아가 결과에 따라서는 남북미중 4자 정상이 유엔총회에 모여 종전선언을 추진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란 평가도 있다.

 아울러 넷째 주인 17~21일 중에서도 18~20일이 유력시 되고 있다. 김대중·노무현 대통령 때의 제1·2차 평양 남북 정상회담은 모두 화~목요일에 이뤄졌던 전례를 본다면 이번 역시 이같은 요일에 진행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다.

 2000년과 2007년에 있었던 1·2차 평양 남북 정상회담은 모두 1박2일 간 열렸다. 1차는 6월 13~15일, 2차는 10월 2~4일 개최됐으며 모두 화~목요일이었다.
 
 한편 일부에서는 지난 1차 대북 특사단과 달리 이번 특사단의 경우, 남북 정상회담 시기를 합의하기에 앞서 북미 간 비핵화 협상 교착상태를 해소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어 날짜 조율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rediu@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