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 때는 전원 '인준'…이낙연 통과여부 관심
【서울=뉴시스】윤다빈 기자 =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 인준을 둘러싸고 국회가 경색 국면을 보이는 가운데, 과거 정부에서도 수차례 총리 후보자의 낙마가 있었다.
국회 인사청문 제도가 도입된 2000년 이후 현재까지 이낙연 후보자를 제외한 총 18명이 국무총리 후보자로 지명됐다. 이 가운데 12명이 임명되고 6명이 낙마했다. 정권별로는 국민의 정부 2명, 이명박 정부 1명, 박근혜 정부 3명이 총리 자리에 오르지 못했다.
첫 낙마 총리는 DJ정부 임기 말인 2002년 7월 첫 여성 총리 후보로 지명됐던 장상 전 이화여대 총장이다. 장 전 총장은 청문회 과정에서 위장전입, 부동산 투기, 아들의 이중국적 의혹 등으로 집중 공세를 받았다. 결국 임명동의안은 국회 본회의에서 재석 의원 244명 중 찬성 100표, 반대 142표, 기권 1표, 무효 1표로 부결됐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이어 장대환 매일경제 회장을 총리 후보로 다시 임명했지만 장 회장 역시 부동산 투기 의혹과 자녀의 강남 위장전입 의혹 등으로 국회 본회의에서 재석 의원 266명 중 찬성 112표, 반대 151표, 기권 3표로 과반 찬성을 얻지 못했다.
참여정부에서는 총리 후보자의 낙마 사례가 발생하지 않았다. 고건·이해찬·한명숙·한덕수 전 총리가 차례로 공직을 수행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당시 대통령직 인수위원장을 맡고 있던 김용준 전 헌법재판소장을 첫 총리 후보로 지명했으나, 부동산 투기와 아들의 병역면제 의혹으로 인사청문회가 열리기 전에 사퇴했다.
이후 안대희 전 대법관도 총리 후보로 지명됐지만 대법관 퇴임 뒤 5개월 동안 16억원의 수임료를 받은 사실이 드러나 '전관예우' 논란 속에서 지명 6일만에 자진 사퇴했다. 또 문창극 전 중앙일보 주필이 총리 후보로 낙점됐으나 이번에는 역사관과 친일 논란, 교회 강연 등 사고와 언행이 문제가 됐다. 그는 '식민지배·남북분단은 하나님 뜻이다', '일본의 위안부 사과 필요 없다' 등의 극우적 발언이 논란이 돼 사퇴했다.
박근혜 정부에서 중도 낙마한 3명의 총리 후보자는 이전 3차례와 달리 모두 청문회를 거치지 못한 채 낙마한 점이 특이사항이다. 이외에 김병준 국민대 교수는 2016년 11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여파 속에서 총리 후보로 지명됐지만, 당시 야권의 거부로 흐지부지된 채 인사청문회도 열지 못했다.
현재 문재인 정부의 첫 총리 후보자인 이낙연 전 전남지사의 경우 20여년 전 교사였던 부인의 근무지 변경을 위한 위장전입 문제로 인준안 처리에 난항을 겪고 있는 상태다. 위장전입의 경우 성격에 따라 낙마 가능성이 유동적인 만큼 향후 처리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fullempty@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