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PA, AI 활용 부산항여객터미널 에너지효율 개선사업 실시

기사등록 2024/08/02 16:17:58

KETEP 주관 '에너지 수요관리 핵심기술 개발사업' 공모 선정

[부산=뉴시스] 테스트베드 구축 및 리빙랩 실증 기술 구성도 (그림=부산항만공사 제공) 2024.08.0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부산=뉴시스] 테스트베드 구축 및 리빙랩 실증 기술 구성도 (그림=부산항만공사 제공) 2024.08.02.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부산=뉴시스]김민지 기자 = 부산항만공사(BPA)는 최근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이 주관한 '2024년도 에너지 수요관리 핵심기술 개발사업' 공모에 선정됐다고 2일 밝혔다.

BPA는 AI를 기반한 공간 에너지 예측 및 자율제어를 통한 건물에너지 효율 향상기술 개발 및 실증 사업을 추진한다.

이번 사업의 주관기관으로는 에코시안이, 공동 연구개발기관으로 BPA를 비롯한 16개사가 참여해 정부 지원예산 180억원을 확보했다.

에코시안과 BPA 등은 2028년 5월까지 약 4년간 건축물의 공간별 특성을 고려한 AI 기반 에너지 관리 기술 및 복합건물 관리 시스템 통합기술 등을 적용해 건축물 자율제어를 통한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는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BPA는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내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BPEX)를 대상으로 ▲공간 사용 용도, 이용자 수 등 표준 공간 모델 데이터 ▲스마트조명, 냉난방기, 신재생에너지 설비 등 다중 객체 데이터 ▲실내 온습도, 공기질 등 환경 데이터 ▲편의성 지수, 건강 지수 등 사용자 선호도 ▲사용자 재실여부, 사용자 에너지 소비 패턴 등 데이터를 인공지능(AI)에 학습시켜 건축물 에너지 효율을 최적 상태로 자율 제어하는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다.

해당 시스템을 적용한 건축물은 에너지 효율이 크게 높아져 시설물 유지관리 비용을 30% 이상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내 국제전시컨벤션센터에 적용 시 연간 약 375MWh의 전력 사용량 절감을 통해 온실가스 172t을 감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강준석 BPA 사장은 "이 기술이 여객터미널과 부두 운영건물 등 부산항 건축물 전반에 걸쳐 에너지 소비효율을 개선해 탄소중립 항만으로 한 단계 더 발전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BPA, AI 활용 부산항여객터미널 에너지효율 개선사업 실시

기사등록 2024/08/02 16:17:58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